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by 하루리쌤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은 나갈 때는 반드시 말하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뵈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모에 대한 공경과 예의를 강조하는 전통적 효의 덕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출필곡반필면


오늘은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필곡 반필면 뜻

  • 出(나갈 출): 나가다
  • 必(반드시 필): 반드시
  • 告(고할 곡): 알리다, 보고하다
  • 反(돌아올 반): 돌아오다
  • 面(얼굴 면): 얼굴을 뵙다, 대면하다

'출필곡반필면(出必告 反必面)'은 밖에 나갈 때는 반드시 부모에게 알리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뵈어야 한다는 예절을 말합니다.
출필곡반필면은 부모에 대한 기본적인 존중과 효심을 실천하는 일상적 태도로 간주되며, 오늘날에도 가정 내 예의범절과 존중의 문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래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은 『예기(禮記) · 곡례편(曲禮篇)』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出必告,反必面。
(나갈 때는 반드시 알리고, 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을 뵈어라.)
출필곡반필면은 유교에서 말하는 기본적인 효행의 예절, 즉 부모와 자식 간의 상호 존중과 질서 있는 가정생활의 기준으로 제시되며, 가장 기초적인 효도의 실천 방식으로 강조되어 왔습니다.

예문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항상 외출할 때 부모님께 인사드리는 출필곡반필면의 태도를 실천했다.
  • 아무리 바빠도 자녀가 출필곡반필면을 지킨다면 그것만으로도 예절교육은 충분하다.
  • 효행 장려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출필곡반필면 같은 기본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처럼 출필곡반필면일상에서 부모를 공경하고 존중하는 가장 기초적인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출필곡반필면출필곡반필면출필곡반필면

 

출필곡반필면 비슷한 말

  • 반포지효(反哺之孝): 자식이 부모에게 은혜를 갚는 효도
  • 혼정신성(昏定晨省):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살피는 효행
  • 반포보은(反哺報恩): 부모의 은혜에 보답함

반포지효어미에게 먹이를 물어주는 까마귀처럼 부모에게 보은하는 효성을 뜻하며,
혼정신성아침저녁으로 부모를 챙기는 생활 속 효도를 강조합니다.
반포보은 역시 부모의 사랑과 은혜에 반드시 보답해야 함을 일깨우는 표현으로, 출필곡반필면과 함께 ‘효’의 기본정신을 실천적으로 보여주는 사자성어입니다.

 

끝맺음

출필곡반필면(出必告 反必面)은 단순한 예절을 넘어, 부모와의 신뢰와 존중, 효행의 기본이 되는 일상의 자세를 가르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사회에서도 출필곡반필면은 소통과 존중을 바탕으로 한 가족 문화 형성의 핵심 가치로 다시금 조명되고 있습니다. 효는 거창한 행위보다, 작은 배려와 존중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출필곡반필면은 잘 보여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칠전팔기(七顚八起) ⭐

낙목한천(落木寒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