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타산지석(他山之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타산지석(他山之石)은 다른 산의 돌이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부족하거나 잘못된 언행도 나를 수양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타산지석


오늘은 타산지석(他山之石)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산지석 뜻

  • 他(다를 타): 다른
  • 山(산 산): 산
  • 之(의 지): ~의
  • 石(돌 석): 돌

'타산지석(他山之石)'은 다른 산에서 나는 돌이라도 나의 옥을 가는 데 쓸 수 있다는 뜻으로, 타산지석은 남의 잘잘못이나 경험, 혹은 비판조차도 나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유래

타산지석(他山之石)은 중국 고전 『시경(詩經) · 소아(小雅) · 하민(鹹敏)』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합니다.

他山之石,可以攻玉
(다른 산의 돌도 옥을 가는 데 쓸 수 있다.)
이는 비록 거칠고 부족한 사람의 말일지라도 나에게 유익한 가르침이 될 수 있다는 의미로, 군주의 자질과 인격 수양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문장입니다.

예문

타산지석(他山之石)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쟁사의 실패 사례를 타산지석 삼아 우리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로 했다.
  • 친구의 부주의한 말에서조차도 나는 타산지석의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 과거의 잘못된 선택도 타산지석으로 삼는다면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

이처럼 타산지석다른 사람의 실수나 경험, 혹은 충고로부터 배우는 자세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타산지석타산지석타산지석

 

타산지석 반대말

  • 자고자대(自高自大): 스스로 잘난 체하며 남의 말을 무시함
  • 우이독경(牛耳讀經):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알아듣지 못함

자고자대는 타인의 의견이나 교훈을 경청하지 않고 스스로만 옳다고 믿는 태도를 뜻하며, 남의 말에서 배움을 얻는 타산지석과는 반대되는 성향입니다.
우이독경귀담아 듣지 않는 태도를 뜻하여, 배움의 태도를 강조하는 타산지석과 대조적입니다.

 

타산지석 유의어

  • 복철지계(覆轍之戒): 앞수레가 엎어진 것을 보고 뒷수레가 경계함 
  • 반면교사(反面敎師): 다른 사람의 잘못이나 부정적인 사례로부터 배우는 스승

복철지계남의 실패를 보고 미리 조심하는 자세를 나타내며, 타산지석의 실천적 형태라 볼 수 있습니다.
반면교사남의 부족함에서 교훈을 얻는다는 점에서 타산지석과 거의 동일한 맥락으로 자주 쓰입니다.

 

끝맺음

타산지석(他山之石)은 다른 사람의 잘못이나 사소한 지적이라도 내 성장의 거울로 삼는 자세를 가르쳐주는 사자성어입니다.
완벽한 조언이나 모범만이 아니라, 부족함 속에서도 배움의 기회를 찾는 지혜가 진정한 자기 발전의 시작입니다. 겸손하게 타인의 말을 귀담아듣고 타산지석으로 삼을 줄 아는 자세야말로 성숙한 사람의 미덕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낙목한천(落木寒天) ⭐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