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낙목한천(落木寒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

by 하루리쌤

낙목한천(落木寒天)은 나뭇잎이 지고 하늘이 차갑다는 뜻으로, 쓸쓸하고 스산한 분위기나 인생의 황혼기, 또는 현실의 삭막함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낙목한천


오늘은 낙목한천(落木寒天)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낙목한천 뜻

  • 落(떨어질 낙): 떨어지다
  • 木(나무 목): 나무
  • 寒(찰 한): 춥다
  • 天(하늘 천): 하늘

'낙목한천(落木寒天)'은 나뭇잎이 떨어지고 하늘이 차갑다는 뜻으로, 자연의 겨울 풍경처럼 삭막하고 쓸쓸한 정서나 인생의 쇠퇴기를 상징합니다. 문학에서 낙목한천은 쓸쓸함, 허무함, 생의 무상함 등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유래

낙목한천(落木寒天)은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등고(登高)」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無邊落木蕭蕭下,不盡長江滾滾來.
(끝없이 낙엽은 쓸쓸히 지고, 장강은 쉬지 않고 흘러간다)
이 구절은 자연의 변화 속에서 인생의 허무함과 시대의 고통을 대입한 비유적 표현이며,
이후 낙목한천은 삶의 덧없음, 자연의 엄숙함, 노년의 정서를 담은 사자성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문

 

 

낙목한천(落木寒天)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쓸쓸한 뒷모습을 바라보니 마치 낙목한천과 같은 쓸쓸함이 밀려왔다.
  • 병상에 계신 어르신의 눈빛에서는 낙목한천의 고요한 체념이 느껴졌다.
  • 황혼에 접어든 삶의 순간은 때로 낙목한천처럼 깊은 성찰을 동반한다.

이처럼 낙목한천사람의 정서나 시대의 분위기가 고요하고도 쓸쓸할 때 사용하는 시적 표현으로 활용됩니다.

 

낙목한천낙목한천낙목한천

 

낙목한천 반대말

  • 화풍난양(和風暖陽): 따스한 봄바람과 햇살

화풍난양따뜻한 기운과 희망의 분위기를 담고 있어, 차가운 낙목한천의 정서와 반대입니다.

 

낙목한천 비슷한 말

  • 풍목지탄(風木之歎): 부모 돌아가신 뒤 효도 못함을 한탄
  • 백발성성(白髮星星):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년의 모습
  • 고목한지(枯木寒枝): 마른 나뭇가지처럼 쓸쓸한 존재

이들 사자성어는 모두 삶의 말기나 쓸쓸한 상황, 노년의 정서를 표현하는 말로, 낙목한천과 유사한 분위기와 의미를 공유합니다.

 

끝맺음

낙목한천(落木寒天)은 자연의 변화에서 인간 삶의 무상함과 쓸쓸함을 떠올리게 하는 시적이고도 철학적인 사자성어입니다.
고요한 겨울날의 풍경처럼, 우리 삶에도 차가운 계절은 존재하며, 그 순간을 받아들이고 성찰하는 태도는 또 다른 성숙의 길이 될 수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초등급부(樵丁汲婦) ⭐

칠전팔기(七顚八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