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폐포파립(敝袍破笠)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오늘날처럼 겉모습에 신경 쓰는 시대에, 진정한 품격은 외모보다 내면에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폐포파립(敝袍破笠)이라는 사자성어입니다.

 

폐포파립(敝袍破笠)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이번 글에서는 폐포파립(敝袍破笠)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폐포파립 뜻

폐포파립(敝袍破笠)은 낡은 도포와 찢어진 삿갓이라는 뜻으로, 겉모습은 남루하지만 마음가짐이나 인격은 고결한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敝(해질 폐): 낡다, 해지다
  • 袍(도포 포): 도포, 겉옷
  • 破(깨질 파): 찢어지다
  • 笠(삿갓 립): 삿갓

즉, 폐포파립은 외모가 초라하더라도 도덕적, 정신적으로 고귀한 사람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유래

폐포파립은 『후한서(後漢書)』 및 여러 고전 문헌에 등장합니다.
당시 유교적 가치관에서는 외적인 장식보다 내면의 도덕과 절개를 중시했기 때문에, 겉모습은 누추해도 진심으로 학문에 임하고 인격을 갖춘 이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폐포파립은 단순히 빈곤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외적인 치장에 연연하지 않고 뜻을 지키는 군자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예문

폐포파립(敝袍破笠)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폐포파립의 삶을 자처하며 화려함 대신 진실함으로 사람들을 대했다.
  • 외모만 보고 무시했지만, 알고 보니 폐포파립의 선비 같은 인물이더라.
  • 낡은 옷과 허름한 모자 속에 담긴 그의 지혜는 폐포파립이라는 표현이 딱 어울렸다.

이처럼 폐포파립진정한 가치와 내면의 힘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폐포파립폐포파립폐포파립

 

폐포파립 반대말

폐포파립의 반대 의미로는 외형만 번지르르하고 실속이 없는 사람을 나타내는 사자성어가 적합합니다.

  • 중과부적(重裘複笏): 겹겹이 입은 비단옷과 장식으로 꾸민 겉모습
  • 금의야행(錦衣夜行): 남들이 알아보지 못하는 허세
  • 허장성세(虛張聲勢): 실속 없이 겉으로만 떠벌림

이들은 형식에 치중하고 실질이 결여된 태도를 풍자하는 데 자주 쓰입니다.

 

폐포파립 유의어

폐포파립(敝袍破笠)과 유사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폐의파관(敝衣破冠): 해진 옷과 찢어진 갓, 즉 소박하고 검소한 태도 또는 외형보다 내면을 중시하는 사람
  •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한 삶을 받아들이고 도를 즐긴다, 즉 물질보다 정신을 중시하는 자세
  • 단사표음(簞食瓢飲): 검소한 식사와 소박한 음료, 즉 청빈한 삶

이들은 모두 겸손하고 절제된 삶의 태도를 상징하며, 폐포파립과 함께 자주 언급됩니다.

 

끝맺음

폐포파립(敝袍破笠)은 남루한 외모 속에서도 고결한 정신을 잃지 않는 사람의 태도를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폐의파관, 단사표음, 안빈낙도 등의 표현과 함께 사용할 경우, 형식보다 본질, 외모보다 인격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습니다.

지금의 사회에서 다시금 생각해봐야 할 가치가 담긴 이 사자성어, 진정한 삶의 자세를 고민할 때 떠올려보시길 바랍니다.

 

 

👇 관련 글 모음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