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오점수(頓悟漸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돈오점수(頓悟漸修)는 단박에 진리를 깨달은 후, 그것을 실천하며 점차 닦아간다는 뜻으로, 불교 선종(禪宗)의 수행 사상에서 핵심 개념으로 여겨지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돈오점수(頓悟漸修)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돈오점수 뜻頓(갑자기 돈): 문득, 단박에悟(깨달을 오): 진리를 깨닫다漸(점점 점): 차츰차츰, 서서히修(닦을 수): 수행하다, 실천하다‘돈오점수(頓悟漸修)’는 진리를 한순간에 깨치되, 그것을 체득하고 완성하기 위해서는 점진적인 수행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돈오점수는 깨달음과 실천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불교 수행 이론의 한 형태입니다. 유래돈오점수(頓悟漸修)는 중국 선종의 6조 혜능(慧能)의 수행법 논쟁에서 기원한 개념입니다.혜능은 『육조단경(六祖壇經)』에서 ..
독서삼도(讀書三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독서삼도(讀書三到)는 책을 읽을 때 세 가지가 도달해야 한다는 뜻으로, 책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눈(眼), 입(口), 마음(心)이 함께 집중되어야 한다는 독서법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독서삼도(讀書三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독서삼도 뜻讀(읽을 독): 책을 읽다書(책 서): 책三(셋 삼): 숫자 3到(이를 도): 도달하다, 닿다‘독서삼도(讀書三到)’는 책을 읽을 때 ‘눈到’, ‘입到’, ‘마음到’의 세 가지가 함께 도달해야 한다는 뜻입니다.독서삼도는 단순히 눈으로 글자를 읽는 것을 넘어, 입으로 소리 내어 읽고, 마음으로 그 뜻을 새기는 것이 진정한 독서라는 의미입니다. 유래독서삼도(讀書三到)는 중국 송나라의 유명한 학자 주희(朱熹)가 『훈몽문(訓蒙文)..
도청도설(道聽塗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도청도설(道聽塗說)은 길에서 들은 이야기를 그대로 옮긴다는 뜻으로,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나 근거 없는 말을 듣고 그대로 퍼뜨리는 경솔한 행동을 경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도청도설(道聽塗說)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청도설 뜻道(길 도): 길, 거리聽(들을 청): 듣다塗(길 도): 길거리說(말씀 설): 말하다, 퍼뜨리다‘도청도설(道聽塗說)’은 길에서 주워들은 이야기를 아무런 검증 없이 말한다는 뜻으로, 검증되지 않은 정보나 유언비어를 함부로 말하고 퍼뜨리는 행동을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유래도청도설(道聽塗說)은 중국 고전 『논어(論語) · 양화편(陽貨篇)』에서 유래합니다. 공자는 이렇게 말합니다.“道聽而塗說, 德之棄也.”(길에서 들은 이야기를 거리에서 떠들어대는 ..
대동소이(大同小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대동소이(大同小異)는 ‘큰 틀에서는 같고, 작은 부분에서만 다르다’는 뜻으로, 전체적으로는 거의 같지만 세부적인 차이만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대동소이(大同小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동소이 뜻大(클 대): 크다, 전체적인 면同(같을 동): 같다, 동일하다小(작을 소): 작다, 미세한 차이異(다를 이): 다르다, 차이‘대동소이(大同小異)’는 큰 부분은 같고, 작은 부분만 다르다는 뜻으로, 거의 비슷한 성격이나 상황, 혹은 유사한 의견이나 입장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대동소이(大同小異)는 특정한 한 고사에서 유래하기보다는 중국 고전 문헌과 논술문에서 널리 쓰인 표현입니다.『예기(禮記)』, 『논형(論衡)』 등에서는 큰 틀의 윤리와 제도는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