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671

단도직입(單刀直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단도직입(單刀直入)은 ‘칼 하나 들고 곧장 적진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돌려 말하지 않고 요점을 직설적으로 말하거나, 본론부터 바로 들어가는 태도를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단도직입(單刀直入)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도직입 뜻單(홑 단): 하나, 단독刀(칼 도): 칼直(곧을 직): 곧장, 바로入(들 입): 들어가다‘단도직입(單刀直入)’은 혼자 칼 하나만 들고 적진에 곧장 돌진한다는 의미로, 오늘날에 단도직입은 말이나 글에서 서론 없이 곧바로 핵심으로 들어가는 화법이나 태도를 뜻합니다. 유래단도직입(單刀直入)은 중국 『삼국지(三國志)』의 고사에서 유래합니다.오나라의 명장 관우(關羽)가 적진 회담 자리에 단칼만 들고 혼자 들어가 담대하게 대처한 일화에서 비롯된..
단기지교(斷機之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이번 글에서는 단기지교(斷機之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기지교 뜻斷(끊을 단): 자르다, 끊다機(틀 기): 베틀, 길쌈 도구之(갈 지): ~의敎(가르칠 교): 가르침'단기지교(斷機之敎)'는 베틀의 실을 끊는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학문이나 일을 중도에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유래단기지교(斷機之敎)는 『열녀전(列女傳)』 및 『사기(史記) · 맹자열전(孟子列傳)』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어느 날, 어린 맹자(孟子)가 학문에 싫증을 느껴 집으로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베고 있던 베틀의 날실을 끊으며 말했습니다.“공부를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베를 짜다 끊어버리는 것과 같다.”이 가르침에 감화된 맹자는 다시 학업에 정진하여 훗날 위대한 유..
다기망양(多岐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다기망양(多岐亡羊)은 갈래가 많은 길에서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길이 너무 많아 바른 길을 찾지 못하거나, 방침이 많아 중심을 잃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다기망양(多岐亡羊)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기망양 뜻多(많을 다): 많다岐(갈림길 기): 갈래길亡(잃을 망): 잃다羊(양 양): 양'다기망양(多岐亡羊)'은 갈래가 너무 많아 쫓던 양을 잃어버렸다는 뜻으로, 방법이나 선택지가 너무 많아 오히려 원하는 목표를 잃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유래다기망양(多岐亡羊)은 중국 『열자(列子) · 설부편(說符篇)』에서 유래한 고사입니다.한 사람이 양을 잃고 찾으려 했지만, 길이 너무 많아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이 고사는 길이 많으면 오히려 ..
능소능대(能小能大)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능소능대(能小能大)는 작고 큰 일 모두 능히 해낼 수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가리지 않고 잘 해내는 유능함과 유연함을 갖춘 사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능소능대(能小能大)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능소능대 뜻能(능할 능): 할 수 있다, 뛰어나다小(작을 소): 작고 사소한 일能(능할 능): 할 수 있다大(클 대): 크고 중요한 일'능소능대(能小能大)'는 작은 일부터 큰일까지 가리지 않고 모두 잘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을 의미하며, 조직이나 사회에서 유연성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유래능소능대(能小能大)는 특정 고사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지만, 중국 한나라 및 당송 문인의 글과 실용 문서에서 다방면에 능한 인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