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658

기인지우(杞人之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기인지우(杞人之憂)는 기나라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합니다. 오늘은 기인지우(杞人之憂)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인지우 뜻杞(기 기): 기나라人(사람 인): 사람之(갈 지): ~의憂(근심 우): 걱정, 근심'기인지우(杞人之憂)'는 기나라 사람의 걱정이라는 뜻으로, 쓸데없는 걱정이나 기우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유래기인지우(杞人之憂)는 중국 고전 『열자(列子)』의 「천서편(天瑞篇)」에서 유래합니다.기나라에 한 사람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까 걱정하여 밤에 잠도 못 자고 음식도 제대로 먹지 못했습니다. 이를 본 친구가 그에게 말했습니다."하늘은 기운이 쌓인 것이니 무너질 염려가 없고, 땅은 단단하..
금실지락(琴瑟之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금실지락(琴瑟之樂)은 거문고와 비파의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부부 사이의 깊고 조화로운 사랑과 행복한 결혼생활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금실지락(琴瑟之樂)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실지락 뜻琴(거문고 금): 전통 현악기 중 하나瑟(비파 슬): 거문고보다 큰 악기, 부부의 화합을 상징之(갈 지): ~의樂(즐길 락): 즐거움, 행복'금실지락(琴瑟之樂)'은 거문고와 비파가 조화를 이루듯, 부부가 조화롭게 살아가는 즐거움을 뜻합니다. 금실지락은 오늘날에는 주로 부부 간의 애정, 금슬 좋은 관계, 가정의 평온함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래금실지락(琴瑟之樂)은 중국 고전 『시경(詩經)』 및 『예기(禮記)』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특히, 『시경 · 소아 · 정남』의 다음..
금슬상화(琴瑟相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금슬상화(琴瑟相和)는 거문고와 비파가 서로 어울려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의 정이 매우 깊고 조화롭게 잘 어울리는 관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금슬상화(琴瑟相和)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슬상화 뜻琴(거문고 금): 현악기의 하나瑟(비파 슬): 거문고보다 큰 고대 악기相(서로 상): 서로和(화할 화): 조화를 이루다, 어울리다'금슬상화(琴瑟相和)'는 거문고와 비파가 서로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의 사이좋고 화목한 관계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고전적 비유입니다. 유래금슬상화(琴瑟相和)는 중국 고전 『시경(詩經) · 소아(小雅)』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합니다.“窈窕淑女,琴瑟友之.”(아름답고 얌전한 아내는 거문고와 비파처럼 조화를 이루며 남편과 ..
금석지약(金石之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금석지약(金石之約)은 금과 돌처럼 단단한 약속이라는 뜻으로, 절대적으로 깨지지 않을 굳건한 약속이나 맹세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금석지약(金石之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석지약 뜻金(쇠 금): 금속, 단단하고 귀한 물질石(돌 석): 돌, 흔들리지 않는 물질之(갈 지): ~의約(맺을 약): 약속, 맹약'금석지약(金石之約)'은 금이나 돌처럼 단단히 맺은 약속을 의미하며,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맹세나 약속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유래금석지약(金石之約)은 고대 중국에서 금석(金石)은 단단하여 부서지기 어려운 물질이라는 점에서, 결코 깨지지 않는 약속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문어체 표현입니다.『사기(史記)』, 『한서(漢書)』 등의 고전에서는 군신 간의 충성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