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671

조변모개(朝變暮改)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조변모개(朝變暮改)는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또 고친다는 뜻으로, 생각이나 방침이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뀌는 모습을 비판적으로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조변모개(朝變暮改)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변모개 뜻朝(아침 조): 아침變(변할 변): 바꾸다, 바뀌다暮(저녁 모): 저녁改(고칠 개): 고치다, 수정하다'조변모개(朝變暮改)'는 아침에 바꾼 것을 저녁에 또 바꾼다는 말로, 이랬다 저랬다 변덕스럽게 바뀌는 일처리나 태도를 의미합니다. 조변모개는 정책이나 방침 등이 일관성 없이 자주 변경될 때 비판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유래조변모개(朝變暮改)는 중국 고전 『맹자(孟子)』·공손추(公孫丑) 편에서 유래합니다.맹자는 군주가 법이나 명령을 아침에 바꾸고 저녁에 또 바꾸면 백..
전고미문(前古未聞)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전고미문(前古未聞)은 예전에는 들어본 적이 없다는 뜻으로,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거나 매우 드문 사례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전고미문(前古未聞)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고미문 뜻前(앞 전): 이전古(옛 고): 예전, 고대未(아닐 미): 아직 ~하지 않음聞(들을 문): 듣다, 들은 바'전고미문(前古未聞)'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을 만큼 유례가 드물거나 놀라운 일을 뜻합니다. 전고미문은 긍정적 의미로도, 부정적 충격으로도 모두 사용되며 비범하거나 파격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쓰입니다. 유래전고미문(前古未聞)은 중국 고대 문헌 《사기(史記)》와 《한서(漢書)》 등 역사서와 변론문에서 자주 사용된 표현으로, “이전 시대에는 전혀 들어본 적..
전도유망(前途有望)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전도유망(前途有望)은 앞날에 희망이 있다는 뜻으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크고 장래가 매우 밝은 사람이나 사물의 상태를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전도유망(前途有望)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도유망 뜻前(앞 전): 앞, 미래途(길 도): 길, 여정有(있을 유): 있다望(바랄 망): 희망, 기대'전도유망(前途有望)'은 앞으로 나아갈 길에 희망이 있다, 즉 장래가 기대된다는 의미로, 능력, 성실성, 잠재력 등을 바탕으로 미래가 밝은 대상에게 자주 쓰입니다. 유래전도유망(前途有望)은 고전보다는 후대의 문예와 정치평론에서 형성된 비유적 표현입니다.특히, 한서(漢書) 등 고대 역사서에서 젊은 인재나 유망한 인물에 대해 "전도에 희망이 있다"라고 평한 문장에서 비롯되어 오늘날에..
전부지공(田父之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 전부지공(田父之功)은 밭 가는 노인의 공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 또는 두 세력이 다투는 사이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전부지공(田父之功)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부지공 뜻田(밭 전): 밭, 들父(아비 부): 늙은이, 농부之(갈 지): ~의功(공 공): 공로, 이득'전부지공(田父之功)'은 다른 이들의 싸움이나 분쟁으로 인해 제삼자가 예상치 못하게 이득을 보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특히, 전부지공은 직접적인 갈등에 개입하지 않고도 최종적인 수혜자가 되는 경우를 풍자적으로 표현할 때 쓰입니다. 유래전부지공(田父之功)은 중국 전국시대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 실린 고사에서 유래합니다.조나라와 연나라가 전란 중일 때, 어떤 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