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양보뢰(亡羊補牢)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망양보뢰(亡羊補牢)는 양을 잃고서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일이 터졌지만 그 후라도 바로잡으면 늦지 않음을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망양보뢰(亡羊補牢)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망양보뢰 뜻亡(망할 망): 잃다, 도망가다羊(양 양): 양補(기울 보): 고치다, 보완하다牢(우리 뢰): 가축을 가두는 울타리, 우리'망양보뢰(亡羊補牢)'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친다는 의미로, 일이 발생한 후에라도 문제를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뒤늦은 조치라도 적절하면 향후의 피해를 막을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유래망양보뢰(亡羊補牢)는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실린 고사에서 유래합니다.초나라 왕에게 충신이 간언 하길, "양을 잃은 후에라도 울타리..
누란지세(累卵之勢)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누란지세(累卵之勢)는 알을 포개 놓은 듯한 형세라는 뜻으로, 조금만 충격이 가해져도 무너질 듯한 매우 위태로운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누란지세(累卵之勢)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누란지세 뜻累(여러 겹 누): 겹쳐 쌓다卵(알 란): 달걀之(의 지): ~의勢(형세 세): 상태, 형세'누란지세(累卵之勢)'는 달걀을 포개 쌓아놓은 것처럼 아주 불안정하고 위험한 상태를 뜻합니다. 누란지세는 조금만 건드려도 곧 무너질 듯한 형세로, 극도의 불안정한 정치, 경제, 심리적 상황 등을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누란지세(累卵之勢)는 한나라의 정치가 조참(曹參)의 고사에서 유래합니다.그는 조정의 정세를 설명하며 "지금은 마치 달걀을 쌓아 놓은 것과 같아, 조그마한 충격..
과부적중(寡不敵衆)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과부적중(寡不敵衆)은 적은 수로는 많은 수를 이기지 못한다는 뜻으로, 세력이나 인원이 적은 쪽이 아무리 힘써도 다수에게는 상대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과부적중(寡不敵衆)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부적중 뜻寡(적을 과): 수가 적다不(아니 불): 아니다, ~하지 못하다敵(맞설 적): 대적하다, 싸우다衆(무리 중): 많은 사람, 다수'과부적중(寡不敵衆)'은 적은 수는 많은 수를 이길 수 없다는 말로, 수적 열세에 따른 불리함이나, 현실적인 힘의 차이로 인한 패배를 이성적으로 받아들이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과부적중(寡不敵衆)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사기(史記) 등 여러 중국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며, 특히, 전쟁이나 정치에서 수적 열세..
고안심곡(高岸深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고안심곡(高岸深谷)은 높은 언덕이 깊은 골짜기로, 깊은 골짜기가 높은 언덕으로 바뀐다는 뜻으로, 세상의 형세나 운명이 뒤바뀌는 격변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고안심곡(高岸深谷)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안심곡 뜻高(높을 고): 높다岸(언덕 안): 물가, 절벽深(깊을 심): 깊다谷(골짜기 곡): 계곡, 낮은 곳'고안심곡(高岸深谷)'은 높은 언덕이 깊은 골짜기로, 깊은 골짜기가 높은 언덕으로 변한다는 의미로, 고안심곡은 세상일은 끊임없이 변하고, 권세나 운명 또한 예측할 수 없이 바뀐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유래고안심곡(高岸深谷)은 장자(莊子) 외물 편(外物篇)에서 유래합니다. 장자는 자연의 변화를 비유하며, “옛날에는 물가가 언덕이었는데 지금은 깊은 골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