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자정리(會者定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회자정리(會者定離)는 만나는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헤어지게 된다는 뜻으로, 세상의 이치상 모든 만남에는 이별이 따름을 나타내는 불교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회자정리(會者定離)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자정리 뜻會(모일 회): 만나다, 모이다者(사람 자): ~하는 사람定(정할 정): 반드시, 정해진離(떨어질 리): 이별하다, 떠나다'회자정리(會者定離)'는 만나는 자는 반드시 이별하게 된다는 의미로, 세상만사의 무상함과 이별의 필연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불교에서 회자정리는 이 생의 모든 인연은 언젠가 끝나며, 만남이 있으면 이별도 있다는 진리를 받아들이는 자세를 말합니다. 유래회자정리(會者定離)는 불교 경전인 법구경(法句經)에서 유래하였습니다.부처는 제자들에게 “모인 ..
황구유취(黃口乳臭)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황구유취(黃口乳臭)는 아직 입이 누렇고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미숙하여 말과 행동이 어설픈 사람을 낮춰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황구유취(黃口乳臭)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황구유취 뜻黃(누를 황): 누렇다口(입 구): 입乳(젖 유): 젖臭(냄새 취): 냄새, 악취'황구유취(黃口乳臭)'는 누런 입에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아직 젖먹이 수준의 유아에 비유해 경험과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 사람을 낮추어 표현하는 말입니다. 유래황구유취(黃口乳臭)는 한서(漢書) 장길전(張吉傳)의 표현에서 비롯된 황구소아(黃口小兒)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보다 더 직접적으로 미숙하고 철없는 어린아이라는 뜻이 강조된 표현입니다.특히, 황구유취는 말이나 태도가 철없거나 건방진 어린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