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0

면종복배(面從腹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면종복배(面從腹背)는 겉으로는 순종하는 척하면서도 속으로는 반항하거나 딴생각을 품는 태도를 비유한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면종복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면종복배 뜻면종복배(面從腹背)는 겉으로는 복종하지만 속으로는 거역함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즉, 면종복배는 겉과 속이 다른 이중적인 태도나 위선적인 처신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面(낯 면): 얼굴, 겉從(좇을 종): 따르다腹(배 복): 배, 속背(등 배): 등지다, 반대하다면종복배는 말이나 행동으로는 순종하는 듯 보이지만, 속마음으로는 전혀 따르지 않거나 다른 생각을 하는 이중적인 사람의 태도를 지적할 때 쓰입니다. 유래‘면종복배’는 고전 문헌인 《후한서(後漢書)》, 《논어(論語)》, 《한서(漢書)》..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맹모삼천지교는 환경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자녀 교육에는 올바른 환경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맹모삼천지교의 뜻, 유래, 예문부터 맹모삼천지교의 반대말, 유의어까지 전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맹모삼천지교 뜻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올바른 교육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孟(성 맹): 맹자의 성母(어미 모): 어머니三(석 삼): 세 번遷(옮길 천): 옮기다, 이사하다之(갈 지): ~의敎(가르칠 교): 가르침, 교육즉, 맹모삼천지교는 교육에는 무엇보다 환경이 중요하며, 부모의 책임..
맥수지탄(麥秀之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맥수지탄(麥秀之嘆)은 나라가 망한 뒤에도 무성하게 자라는 보리를 보며 느끼는 역사의 덧없음과 깊은 탄식을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맥수지탄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맥수지탄 뜻맥수지탄(麥秀之嘆)은 나라가 멸망한 뒤에도 변함없이 자라는 보리를 보며 느끼는 허무한 한탄을 의미합니다. 흔히 국가의 몰락, 시대의 쇠퇴, 이상이 무너진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麥(보리 맥): 보리秀(빼어날 수): 무성하다, 풍성하게 자라다之(갈 지): ~의嘆(탄식할 탄): 탄식, 한숨즉, 맥수지탄은 폐허가 된 나라의 들판에 여전히 무성하게 자란 보리를 보며 느끼는 깊은 탄식을 뜻하며, ‘시대의 허무함’, ‘이상과 현실의 괴리’ 등의 맥락에서도 자주 인용됩니..
만시지탄(晩時之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만시지탄(晩時之歎)은 때를 놓친 것을 뒤늦게 한탄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만시지탄의 뜻, 유래, 예문부터 만시지탄의 반대말, 유의어까지 전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만시지탄 뜻만시지탄(晩時之歎)은 때가 너무 늦어 기회를 잃은 것에 대한 탄식을 의미합니다. 주로 적절한 시기를 놓치고 나서 뒤늦게 후회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晩(늦을 만): 늦다, 뒤늦다時(때 시): 시기, 타이밍之(갈 지): ~의歎(탄식할 탄): 한탄하다, 탄식하다즉, 만시지탄은 ‘늦은 시기를 한탄함’이라는 뜻으로, 무언가를 결심하거나 행동하기엔 이미 너무 늦은 상태에서 느끼는 후회를 나타냅니다. 유래‘만시지탄’은 고전 문헌 속에서 영웅이 자신의 재능을 펼칠 기회를 놓쳤을 때의 심정을 묘사하는 표현으로 자주 등장합니다.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