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0

대의멸친(大義滅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대의멸친(大義滅親)'은 큰 정의를 위해 사사로운 친분이나 혈연조차 버린다는 뜻으로, 공정함을 지키기 위해 사적 관계를 희생하는 결단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대의멸친(大義滅親)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의멸친 뜻'대의멸친(大義滅親)'은 '큰 정의(大義)를 위해 부모나 친족(親)을 멸한다(滅)', 즉 공적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사적인 정이나 혈연을 희생한다는 의미입니다.大(큰 대): 크다義(옳을 의): 정의, 공의滅(멸할 멸): 없애다, 버리다親(친할 친): 친척, 혈연대의멸친은 공사 구분이 철저하고 정의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결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대의멸친은 『좌전(左傳) · 희공 5년 편(僖公五年篇)』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춘..
대동단결(大同團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대동단결(大同團結)'은 각기 다른 입장이나 세력이 하나의 큰 뜻 아래 힘을 합쳐 뭉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동단결(大同團結)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동단결 뜻'대동단결(大同團結)'은 '큰 뜻(大同) 아래에서 모두가 하나로 뭉친다(團結)', 즉 사상이나 이념, 이익이 다르더라도 공동의 목적을 위해 단합함을 뜻합니다.大(클 대): 크다同(같을 동): 같다, 함께하다團(둥글 단): 단체, 무리結(맺을 결): 묶다, 뭉치다대동단결은 국가적 위기, 사회적 혼란, 조직 내 분열 등을 극복하기 위한 단합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대동단결은 고대의 고사성어나 『사기』『논어』 등의 전통 경전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는 아니며, 근현대에 정치·사회적 맥..
대기만성(大器晚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대기만성(大器晚成)'은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뜻으로, 크게 될 인물일수록 늦게 성공하거나 그 진가가 늦게 드러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기만성(大器晚成)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기만성 뜻'대기만성(大器晚成)'은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 즉 큰 인물은 시간이 걸려야 완성된다는 의미입니다.大(클 대): 크다器(그릇 기): 그릇, 인재晚(늦을 만): 늦다成(이룰 성): 이루다, 완성하다대기만성은 성공이 늦더라도 조급해하지 말고 인내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주로 성장 속도가 느리지만 미래가 유망한 사람이나 늦게 빛을 발한 인물을 칭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대기만성은 중국 고전 『노자(老子)』 41장에서 유래합니다.“大器晚成, 大音..
당랑거철(螳螂拒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당랑거철(螳螂拒轍)'은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처지를 모르고 강한 상대에게 덤비는 무모한 행동을 풍자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당랑거철(螳螂拒轍)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랑거철 뜻'당랑거철(螳螂拒轍)'은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 즉 자신의 힘을 모르고 강한 상대에게 무모하게 맞서는 어리석은 행동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螳(사마귀 당): 사마귀螂(사마귀 랑): 사마귀拒(막을 거): 막다, 저항하다轍(수레바퀴 자국 철): 수레바퀴의 자국, 바퀴당랑거철은 상대의 힘을 고려하지 않고 무모하게 덤비는 행동이나 현실을 직시하지 못한 판단을 풍자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당랑거철은 『후한서(後漢書)』와 『장자(莊子)』 등의 고전에서 유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