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5

간담상조(肝膽相照)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속마음까지 털어놓을 수 있는 친구, 있나요?” 아무리 가까운 사이더라도, 진짜 속내를 전부 보여주는 건 어렵습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나의 간(肝)과 담(膽)까지 보여줄 수 있다면, 그건 단순한 인연을 넘어선 진정한 동지, 벗, 인생의 동반자일 것입니다.이런 관계를 딱 한 마디로 표현한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간담상조(肝膽相照)입니다. 이 글에서는 간담상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간담상조 뜻간담상조(肝膽相照)는 다음과 같은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간(肝) – 간담(膽) – 쓸개상(相) – 서로조(照) – 비추다간담상조는 직역하면 “간과 쓸개를 서로 비춰 보인다”, 의역하면 “속속들이 마음을 털어놓고, 진심으로 교류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유래간담..
간난신고(艱難辛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지금은 고생이지만, 언젠가는 웃을 수 있을 거야.” 누구나 한 번쯤은 그런 다짐을 해봤을 겁니다. 눈앞의 현실이 너무 버거워도, 희망을 놓지 않게 해주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간난신고(艱難辛苦)입니다.간난신고는 고통스러운 시간을 견디며 끝까지 버텨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진정한 성취를 의미합니다. 이 글에서는 간난신고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간난신고 뜻간난신고(艱難辛苦)는 다음과 같은 한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어려울 간(艱)어려울 난(難)매울 신(辛)쓸 고(苦)간난신고는 직역하면 “어려움과 고통을 함께 겪는다”는 뜻이며, 의역하면 “몹시 힘들고 고생스러운 상황을 참고 견디며 살아간다”는 의미입니다. 유래간난신고는 중국 한나라 시절 고전 문헌에서 유래한 것..
각주구검(刻舟求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세상이 변했는데, 나만 그대로일 수는 없잖아.” 지금 이 순간에도 변화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옛 방식만 고집하다 보면,현실을 놓치고 뒤처지는 일이 생기죠. 그런 상황을 딱 한마디로 꼬집는 말이 바로 각주구검(刻舟求劍)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주구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각주구검 뜻각주구검(刻舟求劍)은 한자로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새길 각(刻)배 주(舟)구할 구(求)칼 검(劍)직역하면 “배에 새겨 칼을 구한다”, 의역하면 “상황이 변했음에도 옛 방식만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의미합니다. 유래이 표현은 중국 춘추시대의 고사에서 유래했습니다.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가던 중 칼을 물에 떨어뜨리자, 칼이 빠진 지점을 배에 표시(刻)한 뒤, 나중에 칼을..
각자무치(角者無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왜 나는 하나를 가지면 하나를 잃는 걸까?” 완벽을 추구해도 항상 빠지는 게 있고, 누군가는 가진 게 많아 보이지만 그만큼 부족한 것도 있죠. 이 세상의 균형과 불완전함을 딱 한마디로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각자무치(角者無齒)”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자무치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각자무치 뜻각자무치(角者無齒)는 한자로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뿔 각(角)놈 자(者)없을 무(無)이 치(齒)각자무치는 직역하면 “뿔이 있는 자는 이가 없다”, 의역하면 “모든 장점을 다 갖춘 존재는 없다”는 뜻입니다. 유래각자무치는 중국 고전 한비자(韓非子)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짐승 중에 뿔이 있는 동물은 날카로운 이가 없고, 이가 날카로운 동물은 뿔이 없다는 관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