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0

동문서답(東問西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동문서답(東問西答)은 ‘동쪽을 묻는데 서쪽을 대답한다’는 뜻으로, 질문에 대해 엉뚱하거나 전혀 관련 없는 대답을 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문서답(東問西答)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문서답 뜻東(동녘 동): 동쪽問(물을 문): 묻다, 질문하다西(서녘 서): 서쪽答(대답할 답): 대답하다‘동문서답(東問西答)’은 질문한 내용과는 무관하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대답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동문서답은 대화에서의 소통 단절, 오해, 집중력 부족, 혹은 화자의 회피적 태도 등을 풍자하거나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동문서답(東問西答)은 특정 고사에서 비롯된 표현이라기보다는, 문장 구조의 비유적 표현을 통해 고대 중국 한문 문장 속에서 자연스럽게 성립된 ..
동량지재(棟梁之材)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동량지재(棟梁之材)는 ‘기둥과 들보가 될 재목’이라는 뜻으로, 국가나 사회의 중심이 되어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량지재(棟梁之材)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량지재 뜻棟(들보 동): 건물의 큰 들보梁(들보 량): 기둥과 들보를 통틀어 이르는 말之(갈 지): ~의材(재목 재): 인재, 재목‘동량지재(棟梁之材)’는 큰 집의 기둥과 들보가 될 만한 훌륭한 재목이라는 의미로, 한 나라나 조직의 중추 역할을 맡을 수 있는 인재를 상징합니다. 유래동량지재(棟梁之材)는 『논어(論語) · 자로편(子路篇)』에 등장합니다.공자가 어떤 제자를 평가하며 "그는 동량지재(棟梁之材)로 키워야 한다"고 말한 데서 유래한 표현입니다.즉, 동량지재는 사람을 나무 재..
동기상구(同氣相求)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동기상구(同氣相求)는 ‘같은 기운을 지닌 것은 서로를 찾는다’는 뜻으로, 성향이나 관심, 기질이 비슷한 사람들끼리는 자연스럽게 서로 끌리고 어울린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기상구(同氣相求)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기상구 뜻同(같을 동): 같다, 유사하다氣(기운 기): 에너지, 본성, 성향相(서로 상): 서로, 함께求(구할 구): 찾다, 구하다‘동기상구(同氣相求)’는 기질이나 성향이 비슷한 사람은 자연스럽게 서로를 찾고 가까워진다는 뜻으로, 동기상구는 유사한 가치관이나 관심사를 지닌 사람들 간의 인연이나 친화력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동기상구(同氣相求)는 『주역(周易) · 계사전(繫辭傳)』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同氣相求, 同聲相應.”(같은 기운은 서로를 ..
공사다망(公私多忙)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공사다망(公私多忙)은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이 모두 많아 매우 바쁘다’는 뜻으로, 업무나 개인적인 일로 인해 쉴 틈 없이 분주한 상태를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공사다망(公私多忙)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사다망 뜻公(공변될 공): 공적인 일, 공식 업무私(사사 사): 사적인 일, 개인적인 일多(많을 다): 많다忙(바쁠 망): 바쁘다‘공사다망(公私多忙)’은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이 모두 많아 매우 바쁜 상태를 뜻하며, 현대 사회에서 특히 직장인, 공직자, 전문가 등 다방면의 일을 병행하는 이들의 현실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유래공사다망(公私多忙)은 특정 고전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는 아니며, 중국과 조선 시대 서간문, 고문서, 상소문 등에서 자주 사용된 관용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