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공이곡(同工異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동공이곡(同工異曲)은 ‘솜씨는 같지만 곡조는 다르다’는 뜻으로, 기법이나 수준은 비슷하지만 표현 방식이나 내용은 서로 다른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공이곡(同工異曲)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공이곡 뜻同(같을 동): 같다工(장인 공): 솜씨, 기술異(다를 이): 다르다曲(곡 곡): 곡조, 방식‘동공이곡(同工異曲)’은 솜씨는 비슷하지만 결과물의 형태나 분위기는 다름을 의미하며, 예술, 문학, 아이디어, 전략 등에서 방식은 달라도 실력이나 가치는 동등하다는 긍정적인 평가에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유래동공이곡(同工異曲)은 중국 고전 『송서(宋書) · 범엽전(范曄傳)』에서 유래합니다.이 표현은 두 사람이 비록 다른 곡조를 연주하지만, 그 기술 수준이 동일함을 ..
동고동락(同苦同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동고동락(同苦同樂)은 '함께 괴로워하고 함께 즐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도, 기쁜 일도 함께 나누며 살아가는 관계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고동락(同苦同樂)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고동락 뜻同(같을 동): 함께하다苦(쓸 고): 괴로움, 고난同(같을 동): 함께하다樂(즐길 락): 즐거움‘동고동락(同苦同樂)’은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 나눈다는 의미로, 진정한 친구, 부부, 동료 관계에서 서로의 감정과 상황을 공감하고 공유하는 깊은 유대감을 나타냅니다. 유래동고동락(同苦同樂)은 특정한 하나의 고전에서 유래한 표현은 아니지만, 중국 고대 문헌과 한국 고사 속에서 '고락을 같이한다(共苦共樂)'는 표현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며,동고동락은 공통의 운명을 함께 하는 자들에..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은 ‘동쪽 집에서 밥을 먹고, 서쪽 집에서 잠을 잔다’는 뜻으로, 정처 없이 떠돌며 일정한 거처나 생계 수단 없이 의탁하며 사는 생활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가식서가숙 뜻東(동녘 동): 동쪽家(집 가): 집食(먹을 식): 먹다, 식사하다西(서녘 서): 서쪽宿(잘 숙): 자다, 숙박하다'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은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 집 저 집을 전전하며 살아가는 떠돌이 삶을 의미합니다. 동가식서가숙은 의탁 생활이나 일정한 생업 없이 불안정한 생활 상태를 풍자하거나 안타깝게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유래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은 명확한 단일 고전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는..
돈오점수(頓悟漸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돈오점수(頓悟漸修)는 단박에 진리를 깨달은 후, 그것을 실천하며 점차 닦아간다는 뜻으로, 불교 선종(禪宗)의 수행 사상에서 핵심 개념으로 여겨지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돈오점수(頓悟漸修)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돈오점수 뜻頓(갑자기 돈): 문득, 단박에悟(깨달을 오): 진리를 깨닫다漸(점점 점): 차츰차츰, 서서히修(닦을 수): 수행하다, 실천하다‘돈오점수(頓悟漸修)’는 진리를 한순간에 깨치되, 그것을 체득하고 완성하기 위해서는 점진적인 수행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돈오점수는 깨달음과 실천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불교 수행 이론의 한 형태입니다. 유래돈오점수(頓悟漸修)는 중국 선종의 6조 혜능(慧能)의 수행법 논쟁에서 기원한 개념입니다.혜능은 『육조단경(六祖壇經)』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