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춘풍(頭流春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두루춘풍(頭流春風)은 ‘누구에게나 봄바람처럼 따뜻하게 대한다’는 뜻으로, 사람을 가리지 않고 너그럽고 부드럽게 대하는 성품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두루춘풍(頭流春風)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루춘풍 뜻頭流(두루 두, 흐를 류): 전방위로 흐르다, 골고루 미치다春風(봄 춘, 바람 풍): 봄바람, 따뜻하고 온화한 분위기‘두루춘풍(頭流春風)’은 봄바람이 사방으로 골고루 부는 것처럼, 누구에게나 부드럽고 친절하게 대하는 성격이나 태도를 비유한 표현입니다.두루춘풍은 편견 없이 사람을 대하고, 따뜻한 인품으로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에게 주로 쓰입니다. 유래두루춘풍(頭流春風)은 고전 문헌보다 관용적 표현에서 비롯된 사자성어로, '사면춘풍', '사시춘풍'과 함께 ..
동해양진(東海揚塵)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동해양진(東海揚塵)은 '동해에서 흙먼지가 일어난다'는 뜻으로, 도저히 일어날 수 없을 것 같은 변화나 극단적인 세상의 격변을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해양진(東海揚塵)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해양진 뜻東(동녘 동): 동쪽, 동해海(바다 해): 바다, 바다처럼 넓은 공간揚(날릴 양): 흩날리다, 솟구치다塵(티끌 진): 먼지, 흙먼지‘동해양진(東海揚塵)’은 바다에서 먼지가 날릴 정도로 극심한 변화가 생긴다는 뜻으로, 상상을 초월하는 환경의 변화나 시대의 격동기를 상징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래동해양진(東海揚塵)은 중국 고전 『회남자(淮南子)』에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이 고전에서는 상전벽해(桑田碧海)와 함께 쓰이며,“東海揚塵, 桑田成海”즉, 동해에서 흙먼지가 일고..
동성이속(同聲異俗)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동성이속(同聲異俗)은 ‘소리는 같지만 풍속은 다르다’는 뜻으로, 인간은 본래 같지만, 살아가는 환경이나 문화에 따라 삶의 모습이나 생각이 달라진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성이속(同聲異俗)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성이속 뜻同(같을 동): 같다, 동일하다聲(소리 성): 소리, 목소리異(다를 이): 다르다俗(풍속 속): 풍속, 생활 습관‘동성이속(同聲異俗)’은 인간은 같은 본성을 가졌지만, 문화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생활양식이나 가치관을 갖게 된다는 의미로, 인류 보편성과 지역적 다양성을 함께 설명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유래동성이속(同聲異俗)은 중국 고전 『예기(禮記) · 악기편(樂記篇)』에 나오는 문장에서 유래합니다.“夫樂者, 同聲以應, 異俗以和.”(음악은 ..
동성상응(同聲相應)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동성상응(同聲相應)은 ‘같은 소리는 서로 울림이 있다’는 뜻으로, 비슷한 생각이나 성향을 가진 사람들끼리는 자연스럽게 서로 통하고 어울린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동성상응(同聲相應)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성상응 뜻同(같을 동): 같다聲(소리 성): 소리, 목소리相(서로 상): 서로應(응할 응): 응답하다, 호응하다‘동성상응(同聲相應)’은 같은 파장이나 기운을 가진 소리는 서로 울림이 있다는 뜻으로, 성향, 가치관, 분위기가 비슷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공감한다는 뜻으로 확장된 표현입니다. 유래동성상응(同聲相應)은 『주역(周易) · 계사전(繫辭傳)』에서 유래한 말입니다.“同聲相應, 同氣相求.”(같은 소리는 서로 응답하고, 같은 기운은 서로를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