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0

난백난중(難白難中)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난백난중(難白難中)은 형제 중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가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서로 실력이나 능력이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난백난중(難白難中)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백난중 뜻難(어려울 난): 어렵다白(맏 백): 형, 형제 중 첫째難(어려울 난): 어렵다中(버금 중): 아우, 형제 중 둘째'난백난중(難白難中)'은 백(伯)과 중(仲), 즉 형과 아우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난백난중은 실력, 외모, 성품 등이 비슷하여 누가 더 낫다고 말하기 어려운 상황을 나타냅니다. 유래난백난중(難白難中)은 중국 고대에서 형제 순서를 나타내는 백(伯), 중(仲), 숙(叔), 계(季) 중 ‘백과 중’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파생..
기로망양(岐路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기로망양(岐路亡羊)은 갈림길에서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여러 갈래의 길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지 몰라 결국 본질을 놓치게 되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기로망양(岐路亡羊)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로망양 뜻岐(갈림길 기): 여러 갈래의 길路(길 로): 길, 도로亡(잃을 망): 잃다, 놓치다羊(양 양): 양'기로망양(岐路亡羊)'은 갈림길이 너무 많아 양을 쫓던 사람이 결국 길을 잃고 양도 놓쳐버렸다는 의미로, 선택지가 너무 많아 핵심을 잃는 상황이나, 학문이나 인생의 방향을 잃는 상태를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기로망양(岐路亡羊)은 중국 고전 『열자(列子) · 설부편(說符篇)』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道之所在,亡羊之人也。多岐亡羊,學者之患也 ”(도..
근주자적(近朱者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근주자적(近朱者赤)은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어진다는 뜻으로, 주변 사람이나 환경에 따라 성격이나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근주자적(近朱者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주자적 뜻近(가까울 근): 가까이하다朱(붉을 주): 붉은 색, 주홍색者(사람 자): ~한 사람赤(붉을 적): 붉다'근주자적(近朱者赤)'은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게 물든다는 뜻으로, 선한 사람과 가까이하면 선해지고, 악한 사람과 가까이하면 악해진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즉, 근주자적은 환경과 인간관계가 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유래근주자적(近朱者赤)은 중국 동진 시대 인물 부견(苻堅)의 신하 부현(傅玄)의 글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지며, 이후..
규천호지(叫天呼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규천호지(叫天呼地)는 하늘과 땅을 향해 부르짖는다는 뜻으로, 극심한 슬픔이나 분노로 인해 하늘과 땅을 향해 울부짖는 상황을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규천호지(叫天呼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규천호지 뜻叫(부르짖을 규): 크게 외치다, 울부짖다天(하늘 천): 하늘呼(부를 호): 부르다地(땅 지): 땅'규천호지(叫天呼地)'는 몹시 슬프거나 분하여 하늘과 땅을 향해 울부짖는다는 뜻으로, 극도의 감정 표현이나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탄식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유래규천호지(叫天呼地)는 특정 고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는 아니지만, 중국 고전 문헌에서 하늘과 땅을 향해 부르짖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며, 이러한 표현들이 결합되어 극심한 감정을 표현하는 관용어로 발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