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백난중(難白難中)은 형제 중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가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서로 실력이나 능력이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난백난중(難白難中)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백난중 뜻
- 難(어려울 난): 어렵다
- 白(맏 백): 형, 형제 중 첫째
- 難(어려울 난): 어렵다
- 中(버금 중): 아우, 형제 중 둘째
'난백난중(難白難中)'은 백(伯)과 중(仲), 즉 형과 아우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난백난중은 실력, 외모, 성품 등이 비슷하여 누가 더 낫다고 말하기 어려운 상황을 나타냅니다.
유래
난백난중(難白難中)은 중국 고대에서 형제 순서를 나타내는 백(伯), 중(仲), 숙(叔), 계(季) 중 ‘백과 중’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파생된 표현입니다.
이는 삼국지, 사기, 한서 등 고전 문헌에 등장하는 '난형난제(難兄難弟)'의 변형어로, 상대적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관계나 상황을 설명할 때 비유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문
난백난중(難白難中)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 지원자의 역량이 모두 뛰어나 난백난중이라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
- 두 작품 모두 완성도가 높아 난백난중이라 심사위원들이 고심했다.
- 이번 대회는 상위권 실력이 워낙 접전이라 난백난중의 상황이 이어졌다.
이처럼 난백난중은 경쟁 관계나 비교 대상의 실력 차이가 거의 없을 때 자주 쓰입니다.
난백난중 반대말
- 천양지차(天壤之差): 하늘과 땅 차이
천양지차는 전혀 수준이 다른 상태를 말할 때 사용됩니다.
난백난중 유의어
- 백중지세(伯仲之勢): 실력이 엇비슷해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
- 난형난제(難兄難弟): 형과 아우 중 누가 더 나은지 구별하기 힘듦
- 백중지간(伯仲之間): 거의 차이가 없음, 막상막하
이 유의어들은 모두 실력이나 상태가 비슷하여 우열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을 묘사하며, 난백난중과 의미상 유사한 사자성어로 함께 사용됩니다.
끝맺음
난백난중(難白難中)은 실력, 외모, 태도 등이 매우 비슷하여 비교하거나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상호 존중과 공정한 판단이 필요한 경쟁 구도 속에서, 난백난중은 비교의 함정보다 양자의 우수성을 함께 인정하는 지혜를 보여줍니다.
👇 관련 글 모음
근주자적(近朱者赤)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래지풍(傳來之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
남부여대(男負女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기로망양(岐路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근주자적(近朱者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규천호지(叫天呼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