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감언이설(甘言利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현대 사회는 말이 넘쳐나는 시대입니다. 유튜브, SNS, 광고, 대화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메시지를 마주하죠. 그 가운데, 달콤하지만 위험한 말도 있습니다. 바로 그런 상황을 딱 집어 설명해주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감언이설(甘言利說)'. 이 네 글자에는 말의 위험성과 경계심이 담겨 있습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감언이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언이설 뜻

'감언이설(甘言利說)'은 '달콤한 말과 이익을 앞세운 말'이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甘(달 감)
  • 言(말씀 언)
  • 利(이로울 이)
  • 說(말씀 설)

감언이설은 직역하면 '단맛 나는 말과 이익을 내세운 말'이란 의미고, 의역하면 듣기 좋은 말과 이익을 앞세워 남을 꾀거나 속이는 말을 뜻합니다. 사람의 경계심을 무너뜨리기 위한 말의 기술이라고도 볼 수 있어요.
감언이설은 누군가에게 현혹될 수 있는 상황에서, 겉으로 보기엔 좋은 말이지만 그 의도는 사적인 이익이나 계략일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합니다.

 

유래

감언이설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논어(論語) 한비자 등 동양의 유가, 법가 사상에서도 언급됩니다. 고대부터 말의 달콤함이 반드시 진심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철학이 담겨 있었죠.

오늘날에는 특히 광고, 마케팅, 정치, 인간관계 등에서 감언이설이 자주 쓰입니다. 겉으론 나를 위한 말 같지만, 결국은 상대방의 이익만을 위한 말일 수 있다는 맥락에서요.

 

예문

감언이설은 현혹, 속임수, 위선적 언행을 표현할 때 적절한 사자성어입니다. 다음은 예문입니다.

  • 그는 늘 듣기 좋은 소리만 하더니, 알고 보니 다 감언이설이었다.
  • 감언이설에 속아 투자한 돈을 날린 사람이 한둘이 아니야.
  • 처음엔 걱정해주는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감언이설로 유인해서 자기 이득만 챙겼다더라.

한자한자

 

감언이설 반대말

감언이설의 반대는 겉만 번지르르한 말이 아니라, 진심 어린 말, 혹은 올곧은 말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충언역이(忠言逆耳) – 진심에서 우러나온 말은 듣기 거슬릴 수 있다
  • 염화미소(拈華微笑) – 말이 아닌 진심이 통하는 경지

이런 표현들은 감언이설의 대척점에서 진정성 있는 소통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감언이설 유의어 

감언이설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고사성어들도 있습니다.

  •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론 복종하나 속으론 반대함
  • 구밀복검(口蜜腹劍) – 입에는 꿀이 있지만 뱃속엔 칼이 있다
  • 미사여구(美辭麗句) – 겉만 화려한 말

이러한 사자성어들은 말의 위험성, 외면과 내면의 불일치, 이중성을 표현할 때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끝맺음

말은 사람을 설득하고 감동시키기도 하지만, 때로는 가장 위험한 무기가 되기도 합니다. 감언이설은 그 경계를 분명하게 알려주는 사자성어입니다.

누군가의 말이 지나치게 달콤할 때, 과도한 호의를 베풀며 이득을 언급할 때. 그 말 뒤에 어떤 의도가 숨어 있는지를 한 번쯤 의심해보세요. 그 순간 떠올려야 할 단어, 바로 감언이설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간운보월(看雲步月) ⭐

갈이천정(渴而穿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