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감탄고토(甘呑苦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누군가와의 관계에서 "내게 필요할 땐 가까이, 필요 없어지면 손절"을 당해본 적 있으신가요? 사회생활, 인간관계, 비즈니스에서 우리는 종종 이런 이기적인 처신을 겪게 됩니다. 그럴 때 떠올려야 할 사자성어가 바로 '감탄고토(甘呑苦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감탄고토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감탄고토 뜻

'감탄고토(甘呑苦吐)'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 甘(달 감)
  • 呑(삼킬 탄)
  • 苦(쓸 고)
  • 吐(토할 토)

감탄고토를 직역 그대로 해석하면, '자신에게 이로울 땐 받아들이고, 불리하면 버린다'는 뜻이며, 의역하면 상황에 따라 태도를 바꾸는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감탄고토는 인간관계에서의 자기중심적 사고, 조직 내에서의 배신, 상황에 따라 말을 바꾸는 사람들을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유래

감탄고토는 중국 고전 한서(漢書)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한 고위 관료가, 자기를 총애하던 군주가 폐위당하자 그를 버리고 새 군주에게 붙는 모습을 보고 다른 이가 이를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구나(甘呑苦吐)"라고 말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즉, 충성심이나 일관성 없이 철저히 이익 중심적으로 처신하는 행동을 경멸하는 표현입니다.

 

예문

감탄고토는 이기적인 관계, 배신, 기회주의, 철새 정치 신뢰를 저버리는 행동을 설명하는 데 매우 직관적인 사자성어입니다.

  • 이익 있을 땐 아는 척하더니, 어려워지자 거리를 두더라. 완전 감탄고토야.
  • 진정한 우정이 아니라 감탄고토식 관계였다면, 오래갈 수 없었지.
  • 위기 상황이 오자, 다들 살길만 찾더라. 그야말로 감탄고토의 전형이었다.

한자한자

 

감탄고토 반대말

감탄고토의 반대는,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지키는 사람의 태도입니다. 다음과 같은 사자성어들이 감탄고토와 대조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지사충성(志士忠誠) – 뜻을 지닌 사람은 끝까지 충성한다
  • 수어지교(水魚之交) – 물과 물고기처럼 떨어질 수 없는 진실한 관계
  • 백절불굴(百折不屈) – 수많은 시련에도 굽히지 않는 태도
  • 일편단심(一片丹心) – 변하지 않는 한결같은 마음

이 사자성어들은 사람됨, 믿음, 진심을 바탕으로 하는 관계를 이상적으로 보여줍니다.

 

감언이설 유의어 

감탄고토와 의미가 유사한 사자성어들도 많습니다. 모두 이익 앞에서 도리를 저버리는 모습을 꼬집는 표현입니다.

  • 염량세태(炎涼世態) – 권세 있으면 따르고, 몰락하면 버리는 세상 인심
  • 토사구팽(兎死狗烹) –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삶는다
  •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론 복종하나 속으론 딴마음
  • 배은망덕(背恩忘德) – 받은 은혜를 잊고 배신함
  • 형용모순(形容矛盾) –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

이처럼 감탄고토는 상황에 따라 변하는 인간의 본성을 날카롭게 지적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끝맺음

감탄고토는 단지 말이 아니라 경고입니다. 관계가 깊어질수록, 이익이 얽힐수록 사람의 본심이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사람은 결국 진심이 없고, 신뢰를 쌓을 수도 없습니다.

감탄고토는 우리가 신중하게 사람을 보고, 관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말과 행동, 태도가 일관된 사람을 곁에 두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감탄고토 같은 사람은 아닌지도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 관련 글 모음
갈이천정(渴而穿井) ⭐

감언이설(甘言利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