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고독단신(孤獨單身)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고독단신(孤獨單身)은 외롭고 홀로 있는 몸이라는 뜻으로, 의지할 가족이나 동료 없이 외롭게 혼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고독단신


오늘은 고독단신(孤獨單身)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독단신 뜻

  • 孤(외로울 고): 의지할 곳이 없이 혼자인 상태
  • 獨(홀로 독): 혼자임, 단독
  • 單(홑 단): 하나뿐임
  • 身(몸 신): 자기 자신, 신체

'고독단신(孤獨單身)'은 세상에 의지할 사람 없이 혼자 남아 있는 외로운 몸을 의미하며, 가족이나 친구, 공동체와의 연결 없이 혼자 살아가거나 고립된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고독단신(孤獨單身)은 특정한 고사에서 유래한 표현은 아니지만, 중국 고전 문헌 및 유교적 인간관계 개념 속에서 형성된 관용적 사자성어입니다.
‘고독’은 벗이나 친족이 없는 상태, ‘단신’은 의지할 곳 없는 몸 하나뿐인 처지를 뜻하며, 이를 합쳐 극도의 외로움과 단절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문

고독단신(孤獨單身)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낯선 타지에서의 생활은 늘 고독단신의 연속이었다.
  • 모든 가족이 세상을 떠난 뒤, 그는 진정한 고독단신이 되었다.
  • 병실에 혼자 누워 있는 노인의 모습에서 고독단신의 쓸쓸함이 느껴졌다.

위 예문처럼 고독단신심리적·물리적으로 고립된 상태나 절대적인 외로움을 강조할 때 쓰입니다.

 

고독단신고독단신

 

고독단신 반대말

  • 혈육지친(血肉之親): 피를 나눈 친족

혈육지친은 가족과 가까운 친척 사이를 뜻하며, 의지할 사람 없이 혼자인 고독단신과 반대되는 관계입니다.

 

고독단신 유의어

  • 혈혈단신(孑孑單身): 의지할 이 없는 외로운 몸

혈혈단신은 외로움과 고립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유의어로, 고독단신과 거의 같은 뜻으로 쓰입니다.

 

끝맺음

고독단신(孤獨單身)은 삶에서 타인과의 연결이 단절되고, 혼자라는 사실이 뼈저리게 느껴질 때 쓰는 말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관계가 많아 보여도 고독단신 같은 내면의 외로움을 겪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 사자성어는 사람이란 존재는 결국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임을 일깨워주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 관련 글 모음
패가망신(敗家亡身) ⭐

경궁지조(驚弓之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