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고량진미(膏粱珍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세상에는 맛있는 음식이 참 많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많아도 진짜 귀하고 특별한 맛은 한정적이죠. 어떤 음식은 재료부터가 귀하고, 어떤 음식은 손이 많이 가며, 어떤 음식은 시대를 넘어 '호사'로 통합니다.

이처럼 귀한 재료로 만든 최고급 음식을 표현할 때 쓰는 사자성어, 바로 '고량진미(膏粱珍味)'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고량진미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상세히 정리하겠습니다.

 

고량진미 뜻

'고량진미(膏粱珍味)'는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 그리고 진귀한 맛있는 음식'이라는 뜻으로, 매우 귀하고 맛있는 고급 요리나 진수성찬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膏(기름 고): 기름진 고기
  • 粱(좋은 곡식 량): 좋은 곡식
  • 珍(보배 진): 진귀함
  • 味(맛 미): 맛

즉, 고량진미는 재료부터 조리법까지 수준 높은 음식을 통틀어 말하는 표현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고위 관료나 귀족이 향유하던 음식이 고량진미였고, 오늘날에는 명절 음식, 궁중 요리, 미슐랭 셰프의 요리 등 특별한 자리에 나오는 최고급 식사를 의미합니다.

 

유래

고량진미라는 표현은 중국 고대 문헌과 한시(漢詩) 속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사기(史記)한서(漢書) 같은 고전에서 권세 있는 인물들이 기름지고 풍성한 음식을 즐긴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되었죠.

그 당시에는 농민이나 일반 백성은 고량진미는커녕 밥과 나물, 국조차 구하기 힘든 시절이었기 때문에, 고량진미는 곧 권력, 부유함, 사치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음식 자체의 귀함과 풍요로움을 강조할 때 또는 '이렇게까지 고급일 필요가 있을까'라는 반어적 표현으로도 활용되곤 합니다.

 

예문

 

고량진미는 격식 있는 식사 자리, 귀빈을 위한 음식, 혹은 풍요로움의 상징으로 자연스럽게 쓰입니다.

  •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의 고량진미가 차려진 잔칫상에 모두가 감탄했다.
  • 요즘엔 집에서도 셰프 못지않은 고량진미를 직접 요리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어.
  • 그의 생일 파티는 호텔 뷔페보다도 더 화려한 고량진미 수준이었다.
  • 전통 궁중요리에서 맛볼 수 있는 진정한 고량진미의 풍미는 특별했다.
  • 대단한 접대 자리라고 했는데, 정작 고량진미는커녕 국밥 한 그릇이 전부였다.

한자한자

 

고량진미 반대말

고량진미의 반대말은 소박하고 간소한 식사, 또는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의 식사를 의미하는 표현들입니다. 대표적인 사자성어와 어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사표음(簞食瓢飲) – 대나무 바구니에 담긴 밥과 표주박의 물, 청빈한 생활
  • 박주산채(薄酒山菜) – 산에서 나는 채소와 엷은 술, 소박한 식사
  • 식부지기(食不知飽) – 배고픔을 느낄 새도 없이 간단히 먹음
  • 검소지식(儉素之食) – 검소하고 절제된 식사

이러한 표현들은 화려한 고량진미와 대조적으로, 겸손과 절제를 강조하거나, 생활이 어려운 상황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고량진미 유의어

고량진미와 의미가 비슷하거나 함께 쓰일 수 있는 유의어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해진미(山海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귀한 음식, 고급 음식의 대표 표현
  • 용미봉탕(龍味鳳湯) – 용과 봉황의 맛, 최고급 음식과 호화로운 식사를 비유
  • 진수성찬(珍羞盛饌) – 정성껏 차린 맛있고 귀한 음식
  • 호화찬란(豪華燦爛) – 화려하고 찬란한 모습, 식사의 외형과 분위기 강조

특히, 산해진미는 고량진미와 함께 자주 쓰이며, '상다리 휘어진다'는 표현과 궁합이 좋은 고급스러운 음식 묘사에 함께 활용됩니다.

 

끝맺음

고량진미 안에는 노력, 정성, 환대, 그리고 품격 있는 경험이 담겨 있습니다. 당신이 누군가에게 고량진미를 대접한다는 것은 단지 음식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나누고, 기억에 남을 경험을 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반대로, 고량진미가 사치로만 소비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도 함께 담겨 있겠죠.

 

 

👇 관련 글 모음

계포일낙(季布一諾) ⭐

고굉지신(股肱之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