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구우일모(九牛一毛)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구우일모(九牛一毛)'는 아주 많은 것 중의 아주 적은 것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전체에 비해 극히 미미하거나 보잘것없는 존재나 양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구우일모(九牛一毛)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우일모 뜻

'구우일모(九牛一毛)'는 ‘아홉 마리 소 가운데서 빠진 털 한 가닥’, 즉 매우 많은 것 중에서 극히 작은 일부분이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입니다.

  • 九(아홉 구): 숫자 9
  • 牛(소 우): 소
  • 一(하나 일): 하나
  • 毛(털 모): 털

즉, 구우일모는 전체적으로 너무 많아 일부가 없어도 티도 나지 않는 상황이나, 매우 하찮고 미미한 존재나 분량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쓰입니다.

 

유래

구우일모는 중국 『한서(漢書)』 , 고제기(高祖紀)에 등장하는 표현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입니다.

한 고조 유방이 천하를 통일한 뒤, "천하의 넓은 백성에 비하면 지금의 죄인은 구우일모(九牛之一毛)일 뿐이다"라고 하며, 자신의 잘못이나 처벌받을 일이 전체 질서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뜻으로 사용한 것이 기원입니다.

이후 이 표현은 "큰 전체에서 미미한 일부", 또는 "별것 아닌 일"을 상징하는 관용적 사자성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문

구우일모는 어떤 것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거나, 영향력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 대기업 입장에서 보면 이 정도 손해는 구우일모에 불과할 것이다.
    → 손실이 크지 않고 전체에 영향이 미미한 경우
  • 지금 이 문제는 전체 프로젝트의 구우일모 수준이라 너무 걱정할 필요 없다.
    →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크지 않은 이슈임을 강조
  • 국민 세금 낭비 중 하나지만, 전체 규모로 보면 구우일모라는 이유로 개선이 방치되고 있다.
    → 문제의 심각성은 있지만,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무시되는 상황

 

한자한자

 

구우일모 반대말

구우일모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차대(重且大): 무겁고 크다
    → 사안이나 존재가 가볍지 않고 매우 중요한 상황을 나타냄
  • 일거양득(一擧兩得): 하나의 행동으로 두 가지 성과
    → 작지만 핵심적인 결과를 내는 경우
  • 일촉즉발(一觸卽發): 한 번의 자극에 바로 폭발할 듯한 위험한 상태
    → 미미해 보이지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긴장된 상황

이처럼 반대말은 사소하거나 미미한 것이 아니라, 핵심적이고 중대한 사안을 표현합니다.

 

구우일모 유의어

구우일모와 의미가 유사한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창해일속(滄海一粟): 넓은 바다에 떠 있는 좁쌀 하나
    방대함 속에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작은 존재나 사물을 뜻함
  • 진태양란(進退兩難): 나아가지도 물러서지도 못하는 상황
    → 직접적인 유의어는 아니지만, 미미한 입장에서 무력감을 느낄 때 유사 문맥에서 사용
  • 백분지일(百分之一): 전체 중 극히 일부
    → 수치적으로도 작고 미미한 비율을 강조할 때 사용

이처럼 유의어들은 모두 전체 규모나 맥락 속에서 극도로 작은 존재, 하찮음, 무시될 정도의 비중을 표현합니다.

 

끝맺음

구우일모(九牛一毛)는 겸손을 표현할 때도, 상황을 냉정하게 분석할 때도 유용하게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너무 작은 일에 매몰되어 큰 그림을 놓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대로, 자신이 구우일모 같은 존재라고 느껴질 때는, 작고 미미한 존재도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는 작지만, 절대 무의미하지 않은 존재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