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남부여대(男負女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남부여대(男負女戴)는 남자는 짐을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재난, 또는 가난과 같은 이유로 가족 전체가 살길을 찾아 떠도는 모습을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남부여대


오늘은 남부여대(男負女戴)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남부여대 뜻

  • 男(사내 남): 남자
  • 負(질 부): 짐을 지다
  • 女(여자 여): 여자
  • 戴(일 대): 머리에 인다

'남부여대(男負女戴)'는 남자는 등에 짐을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가며 이동하는 모습으로, 가난하거나 난리를 피해 가족이 고통스럽게 떠도는 처지를 상징합니다.
특히, 남부여대는 전란이나 유랑민, 피난민의 고달픈 삶을 강조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유래

남부여대(男負女戴)는 중국 고전 『맹자(孟子) · 등문공상(滕文公上)』에 처음 등장합니다. 맹자는 진(秦)나라의 침략으로 초나라 백성들이 피난을 떠나는 장면을 묘사하며,

"民男負妻,女戴子,避寇於楚"
(백성들이 남자는 아내를 등에 지고, 여자는 아이를 머리에 이고, 도적을 피해 초나라로 향했다.)
라고 말합니다. 이 장면에서 유래해 남부여대는 피난과 고난의 상징적 사자성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예문

남부여대(男負女戴)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근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남부여대하며 고향을 떠났다.
  • 전란 당시 피난길에 오른 가족들의 모습은 말 그대로 남부여대였다.
  • 재난을 피해 남부여대하던 사람들에게 국가의 도움이 절실했다.

이처럼 남부여대전란, 재난, 이재민, 유랑민 등의 고단한 현실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남부여대남부여대남부여대

 

남부여대 반대말

  •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을 편안히 여기며 도를 즐김
  • 고복격양(鼓腹擊壤): 태평한 시대, 배불리 먹고 땅을 치며 노래함

안빈낙도외적 고난 없이 평화로운 가난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삶으로, 어쩔 수 없이 떠도는 남부여대와는 대조적인 태도입니다.
고복격양국가와 사회가 평안한 이상적인 상태를 말하며, 남부여대처럼 삶의 기반이 무너진 상태와는 완전히 반대됩니다.

 

남부여대 유의어

  •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자다 

동가식서가숙하루하루 끼니와 잠자리를 해결하지 못하고 떠도는 처지를 나타내어, 남부여대와 뜻이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끝맺음

남부여대(男負女戴)는 생존을 위해 삶의 기반을 잃고 유랑하는 사람들의 고통을 함축한 사자성어입니다.
역사 속 전란이나 자연재해, 사회적 혼란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남부여대의 현실을 살아왔으며, 이 표현은 오늘날에도 고난받는 이웃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관련 글 모음
기로망양(岐路亡羊) ⭐

난백난중(難白難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