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지풍(傳來之風)은 전해 내려오는 풍속 또는 전통이라는 뜻으로, 선대에서부터 이어져 온 생활 방식, 예의범절, 도덕적 규범 등의 전통적 기풍이나 문화를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전래지풍(傳來之風)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래지풍 뜻
- 傳(전할 전): 전하다
- 來(올 래): 오다
- 之(갈 지): ~의
- 風(바람 풍): 풍속, 기풍
'전래지풍(傳來之風)'은 이전 세대에서 현재로 전해진 관습이나 사상, 사회적 분위기를 의미합니다. 전래지풍은 단순히 문화의 흐름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윤리적으로 긍정적인 전통이나 가치가 이어졌다는 뉘앙스를 담습니다.
유래
전래지풍(傳來之風)은 특정한 고사보다는 고전 문헌과 문장 속에서 사용된 문어체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예기(禮記)』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등 유학 고전에서는 “전래지풍을 따르다”, “조상으로부터 전해진 풍속을 지키다”와 같은 문장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는 사회와 가정의 도덕 질서를 유지하고 후세에 귀감이 되는 전통을 계승한다는 유교적 가치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예문
전래지풍(傳來之風)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우리 고장의 전래지풍은 마을마다 협동과 나눔을 중시하는 공동체 정신이었다.
- 조상들의 전래지풍을 이어받아 정직과 절제를 삶의 근본으로 삼았다.
- 전래지풍이 무너지면 사회의 뿌리도 흔들리게 마련이다.
이처럼 전래지풍은 전통의 긍정적 가치, 선대의 미풍양속, 도덕적 습속 등을 설명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전래지풍(傳來之風)은 단순한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삶의 기준이 되는 문화적 뿌리를 의미합니다.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도 전통 속에 깃든 지혜와 도덕성을 존중하고 이어가는 것은 개인의 인격과 공동체의 건강한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난백난중(難白難中)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문지화(北門之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
존양지의(存羊之義)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남부여대(男負女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난백난중(難白難中)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기로망양(岐路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