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낭유도식(浪遊徒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낭유도식(浪遊徒食)은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며 아무 하는 일 없이 남의 것을 얻어먹는다는 뜻으로, 직업이나 생업 없이 빈둥대며 살아가는 삶을 비판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낭유도식

 

오늘은 낭유도식(浪遊徒食)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낭유도식 뜻

  • 浪(물결 낭): 방랑하다, 이리저리 떠돌다
  • 遊(놀 유): 노닐다, 유랑하다
  • 徒(헛될 도): 부질없이, 쓸모없이
  • 食(밥 식): 먹다

'낭유도식(浪遊徒食)'은 떠돌아다니며 아무런 생산 활동도 없이 헛되이 먹고 사는 삶을 의미합니다. 낭유도식은 주로 게으름이나 무능력, 혹은 목적 없이 허송세월하는 사람을 비판적으로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낭유도식(浪遊徒食)은 명확한 고전 속 고사는 없지만, 고대 중국의 문인이나 유가 문헌에서 유랑하면서 생업 없이 살아가는 자를 경계하는 표현으로 등장합니다.
낭유도식은 『예기(禮記)』나 『한비자(韓非子)』 등 유교적 가치관에서 노동 없는 삶, 의무 없는 소비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상에서 비롯된 관용적 표현입니다.

 

예문

낭유도식(浪遊徒食)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년 시절 그는 낭유도식의 삶을 살았으나, 어느 날 큰 결심을 하고 공부를 시작했다.
  • 부모에게 기대어 낭유도식하는 삶은 자립과는 거리가 멀다.
  • 아무런 목적 없이 낭유도식하는 이는 결국 사회에서 외면당하기 마련이다.

이처럼 낭유도식노력하지 않고 허송세월하는 삶을 경계하거나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낭유도식낭유도식낭유도식

 

낭유도식 반대말

  • 근면성실(勤勉誠實): 부지런하고 성실함

근면성실노력과 성실함으로 삶을 일구는 자세를 강조하며, 게으르고 목적 없이 살아가는 낭유도식과 반대 개념입니다.

 

낭유도식 유의어

  • 유의유식(遊意遊食): 마음은 노닐고 식사는 남의 것으로 
  • 무위도식(無爲徒食):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밥만 축냄

이 유의어들은 모두 노력 없이 살아가는 비생산적 태도, 혹은 빈둥대는 삶을 경계할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낭유도식과 함께 문장 내에서 비판적 맥락에서 활용됩니다.

 

끝맺음

낭유도식(浪遊徒食)은 목적 없이 유랑하며 남의 도움만으로 살아가는 삶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낭유도식은 오늘날에도 자기계발과 자립이 중요한 가치로 강조되는 사회에서, 이 표현은 게으름과 의존에서 벗어나야 함을 경고하는 교훈적 의미로 사용됩니다.

노력 없는 삶은 결국 자신에게 가장 큰 손해가 된다는 점을 되새기게 하는 말입니다.

 

 

👇 관련 글 모음
낙양지가(洛陽紙價) ⭐

난신적자(亂臣賊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