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內憂外患)은 내부의 근심과 외부의 재난이라는 뜻으로, 국가나 조직, 개인이 안팎으로 위기에 직면한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내우외환(內憂外患)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우외환 뜻
- 內(안 내): 내부, 안쪽
- 憂(근심 우): 걱정, 근심
- 外(바깥 외): 외부, 바깥
- 患(근심 환): 재난, 걱정, 병
'내우외환(內憂外患)'은 안으로는 내부 갈등이나 문제로 인해 고통을 겪고, 밖으로는 외부의 공격이나 압박까지 겹친 상태를 뜻합니다. 내우외환은 이중의 위기, 안팎으로 막막한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내우외환(內憂外患)은 중국 고전 『한서(漢書)』와 『사기(史記)』 등 역사서에서 국가의 안팎의 위기를 표현하며 등장하는 문구로, 왕조가 혼란에 빠질 때 자주 언급되었습니다.
내부 정쟁이나 민란(內憂)과 외침이나 외세의 압박(外患)이 동시에 닥치는 상황에서 국가 지도자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흥망이 갈렸음을 보여주는 용례가 많습니다.
예문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치적 혼란과 국제 분쟁이 겹쳐 내우외환의 상황에 빠졌다.
- 회사는 내부 구조조정과 외부 투자 실패로 인해 내우외환의 위기에 봉착했다.
- 조선 말기 내우외환 속에서 국가의 근간이 흔들렸다.
이처럼 내우외환은 내부 문제와 외부 위협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내우외환 반대말
- 국태민안(國泰民安):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국태민안은 국가가 안정되고 국민도 평화롭게 사는 상태를 표현해, 위기와 혼란을 뜻하는 내우외환과는 정반대의 의미입니다.
내우외환 유의어
- 사면초가(四面楚歌):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고립무원의 상태
- 진퇴양난(進退兩難):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고 물러설 수도 없는 궁지
- 풍전등화(風前燈火): 바람 앞의 등불처럼 위태로운 처지
이 유의어들은 모두 위기 상황, 궁지에 몰린 상태, 생존이 위협받는 극한 상황을 묘사하며, 내우외환과 함께 사용되면 위기의 심각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끝맺음
내우외환(內憂外患)은 조직이나 국가, 개인이 안팎으로 위기에 직면해 매우 힘든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내부 결속과 외부 대응이 함께 이뤄져야 하며,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중심을 잃지 않는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 관련 글 모음
난신적자(亂臣賊子)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류장화(路柳墻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
노기등천(怒氣登天) 뜻, 유래, 예시 문장 (0) | 2025.05.21 |
낭유도식(浪遊徒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난신적자(亂臣賊子)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낙양지가(洛陽紙價)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