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단기지교(斷機之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기지교 뜻
- 斷(끊을 단): 자르다, 끊다
- 機(틀 기): 베틀, 길쌈 도구
- 之(갈 지): ~의
- 敎(가르칠 교): 가르침
'단기지교(斷機之敎)'는 베틀의 실을 끊는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학문이나 일을 중도에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유래
단기지교(斷機之敎)는 『열녀전(列女傳)』 및 『사기(史記) · 맹자열전(孟子列傳)』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어느 날, 어린 맹자(孟子)가 학문에 싫증을 느껴 집으로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베고 있던 베틀의 날실을 끊으며 말했습니다.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베를 짜다 끊어버리는 것과 같다.”
이 가르침에 감화된 맹자는 다시 학업에 정진하여 훗날 위대한 유학자가 되었습니다. 이 일화는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라고도 하며, 오늘날 중도 포기를 경계하고 꾸준함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말로 사용됩니다.
예문
단기지교(斷機之敎)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어릴 때 어머니에게 들은 단기지교를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았다.
- 중도 포기의 유혹이 들 때마다 나는 단기지교의 고사를 떠올린다.
- 학문은 단기지교처럼 끈기 있게 이어가야 그 진가를 발휘한다.
단기지교 반대말
- 용두사미(龍頭蛇尾): 시작은 화려하나 끝이 흐지부지함
용두사미는 처음은 거창하지만 끝이 부실한 행태를 나타내며, 끈기와 인내를 강조하는 단기지교와 정반대의 의미를 가집니다.
단기지교 유의어
- 단기지계(斷機之戒): 베틀 실을 끊으며 준 경계
-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맹자의 어머니가 실을 끊으며 훈계한 고사
이 유의어들은 모두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의 학업 중단을 막기 위해 실천한 가르침에서 비롯되며, 끈기와 꾸준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맥에서 단기지교와 함께 사용됩니다.
끝맺음
단기지교(斷機之敎)는 학문과 인생의 모든 일이 끈기와 인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자성어입니다.
맹자의 어머니가 실을 끊는 장면은 단순한 훈계가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는 가르침으로, 오늘날에도 단기지교는 포기하고 싶을 때마다 다시 마음을 다잡게 하는 깊은 교훈이 됩니다.
👇 관련 글 모음
능소능대(能小能大)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사표음(簞食瓢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
단도직입(單刀直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다기망양(多岐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능소능대(能小能大)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5.21 |
농장지경(弄璋之慶)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