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사표음(簞食瓢飮)은 ‘대나무 바구니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비록 음식은 소박하고 형편은 가난하더라도 그것에 만족하며 도를 즐기는 삶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단사표음(簞食瓢飮)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사표음 뜻
- 簞(소쿠리 단): 대나무로 만든 밥 바구니
- 食(밥 사): 음식, 밥
- 瓢(바가지 표): 표주박, 물을 담는 그릇
- 飮(마실 음): 마시다, 음료
'단사표음(簞食瓢飮)'은 검소하고 가난한 식사를 뜻하는 표현으로, 물질적 풍요보다 정신적 만족이나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는 삶의 자세를 나타냅니다.
유래
단사표음(簞食瓢飮)은 중국 고전 『논어(論語) · 옹야편(雍也篇)』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는 제자인 안연(顔淵)에 대해 이렇게 칭찬했습니다.
“簞食瓢飮,在陋巷,人不堪其憂,回也不改其樂.”
(소쿠리 밥과 표주박 물로 연명하며 누추한 골목에 살았지만, 남들은 괴로워할 그 삶을 안연은 즐거워했다.)
이 고사에서 유래한 단사표음은 이후 청빈하면서도 고결한 자세, 만족을 아는 삶의 이상형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예문
단사표음(簞食瓢飮)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요즘처럼 물질이 중심이 된 시대일수록 단사표음의 정신이 필요하다.
- 그는 단사표음 속에서도 불평하지 않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사람이다.
- 단사표음이라 해도 마음이 풍족하면 그것이 진정한 행복이다.
이처럼 단사표음은 물질적 결핍 속에서도 정신적 충만함을 지닌 삶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단사표음 비슷한 말
- 단표누항(簞瓢陋巷): 대바구니 밥과 표주박 물, 누추한 거리
-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함을 편안히 여기고 도를 즐김
이 유의어들은 모두 물질적으로는 넉넉하지 않지만, 도덕과 정신을 중시하며 살아가는 삶을 찬양하는 표현입니다. 단사표음과 함께 청렴결백한 인물이나 철학자의 삶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끝맺음
단사표음(簞食瓢飮)은 검소한 삶 속에서도 도를 즐기며 기쁨을 잃지 않는 자세를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물질적 풍요보다 정신적 여유와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는 태도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필요한 가치입니다. 안연처럼 누추한 삶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마음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의 기반일 수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단기지교(斷機之敎)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표누항(簞瓢陋巷)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2 |
---|---|
단순호치(丹脣皓齒)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단도직입(單刀直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단기지교(斷機之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다기망양(多岐亡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