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표누항(簞瓢陋巷)은 대바구니에 담긴 밥과 표주박의 물, 그리고 누추한 골목이라는 뜻으로, 물질적으로는 가난하지만 도를 즐기며 살아가는 청빈한 삶의 자세를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단표누항(簞瓢陋巷)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표누항 뜻
- 簞(소쿠리 단): 대나무 바구니, 보통 밥을 담는 용기
- 瓢(표주박 표): 물을 담는 그릇
- 陋(누추할 누): 누추하다, 초라하다
- 巷(거리 항): 골목, 거리
'단표누항(簞瓢陋巷)'은 밥과 물만으로 연명하는 가난한 생활을 하며 누추한 곳에 사는 모습을 뜻하며, 단표누항은 단순한 빈곤이 아니라 그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는 고결한 삶을 의미합니다.
유래
단표누항(簞瓢陋巷)은 『논어(論語) ·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공자와 제자 안연(顔淵)의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공자는 제자 안연이 소쿠리 밥과 표주박 물로 살아가며, 누추한 골목에 살면서도 자기의 삶을 기쁘게 여기며 도를 즐겼다고 칭찬합니다.
“簞食瓢飮,在陋巷,人不堪其憂,回也不改其樂。”
(소쿠리 밥과 표주박 물로 연명하며 누추한 골목에 살아도, 안연은 그 기쁨을 잃지 않았다.)
이 고사는 청빈하지만 고결한 삶을 살았던 인물의 표상으로 지금까지 회자되고 있습니다.
예문
단표누항(簞瓢陋巷)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평생 단표누항의 삶을 살았지만, 학문과 도리를 지키는 데 한 점 부끄러움이 없었다.
- 현대 사회에서 단표누항은 단지 가난함이 아니라, 물질보다 정신을 중시하는 자세를 뜻한다.
- 단표누항이라도 마음이 평안하고 도리에 부끄럽지 않다면 그것이 진정한 행복이다.
이처럼 단표누항은 겉보기엔 가난하지만 그 안에 품격과 만족이 있는 삶을 찬양할 때 사용됩니다.
단표누항 비슷한 말
- 단사표음(簞食瓢飮): 소쿠리 밥과 표주박 물
- 누항단표(陋巷簞瓢): 단표누항과 의미 동일, 어순만 바뀐 표현
-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함을 편안히 여기고 도를 즐김
이 유의어들은 모두 물질적 결핍 속에서도 도덕과 철학을 지키는 고결한 삶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단표누항과 함께 사용하면 고전적 가치와 정신적 충만함을 강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끝맺음
단표누항(簞瓢陋巷)은 비록 가난하고 누추한 환경에 있더라도, 도리를 지키며 평정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자세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공자가 찬양한 안연의 삶처럼, 오늘날에도 단표누항은 외형적 성공보다 내면의 품격과 철학을 지키는 삶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단사표음(簞食瓢飮)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수지교(淡水之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2 |
---|---|
담소자약(談笑自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2 |
단순호치(丹脣皓齒)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5.21 |
단사표음(簞食瓢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
단도직입(單刀直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