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단결(大同團結)'은 각기 다른 입장이나 세력이 하나의 큰 뜻 아래 힘을 합쳐 뭉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동단결(大同團結)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동단결 뜻
'대동단결(大同團結)'은 '큰 뜻(大同) 아래에서 모두가 하나로 뭉친다(團結)', 즉 사상이나 이념, 이익이 다르더라도 공동의 목적을 위해 단합함을 뜻합니다.
- 大(클 대): 크다
- 同(같을 동): 같다, 함께하다
- 團(둥글 단): 단체, 무리
- 結(맺을 결): 묶다, 뭉치다
대동단결은 국가적 위기, 사회적 혼란, 조직 내 분열 등을 극복하기 위한 단합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대동단결은 고대의 고사성어나 『사기』『논어』 등의 전통 경전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는 아니며, 근현대에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만들어져 널리 사용된 한자성 표현입니다.
특히, 일제 강점기 시절, 국권 회복과 민족 독립을 위해 다양한 계파와 세력이 연합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등장했고, 임시정부의 통합, 독립운동 단체의 연대 구호, 정치적 연합체의 표어 등으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즉, 이해관계나 입장이 달라도 '민족' 혹은 '공공의 대의'를 위해 하나가 되는 정신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예문
대동단결은 주로 공동의 목표를 위해 여러 주체가 하나로 뭉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정당 간 이념은 다르지만, 국가 경제 회복이라는 목표 아래 대동단결하기로 했다.
→ 공동 목표를 위한 협력 - 독립운동가들은 각기 노선은 달랐지만, 결국 대동단결해 항일 투쟁에 나섰다.
→ 다양한 입장의 통합 - 팬덤 간 갈등이 심했지만, 기부 캠페인에서는 대동단결하는 모습을 보여 감동을 줬다.
→ 평소 갈등을 넘은 연대
대동단결 반대말
대동단결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분열질서(分裂秩序): 질서가 갈라지고 흐트러짐
→ 단결과 반대되는 해체 상태 - 각자도생(各自圖生): 각자가 제 살 길만 도모함
→ 공동체 정신이 없는 이기주의 - 중구난방(衆口難防): 여러 사람의 말이 제각각이라 통일되지 않음
→ 통합의 부재, 내부 혼란
이 반대말들은 모두 공동의 방향성을 잃고 각자 흩어지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대동단결 유의어
대동단결과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심동체(一心同體): 한마음, 한 몸처럼 뭉침
→ 강한 통합 의지 - 협력일치(協力一致): 힘을 합쳐 일치된 행동
→ 공동의 목표를 위한 단합 - 동고동락(同苦同樂): 고통과 기쁨을 함께 나눔
→ 운명공동체적 연대
이 유의어들은 모두 집단적 일치, 단결, 공동체 의식을 상징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대동단결(大同團結)'은 단순한 연합이 아닌, 공동의 가치와 목표 아래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이루어지는 결속을 의미합니다.
다름을 인정하면서도 하나로 뭉칠 수 있는 힘, 그것이 대동단결의 본질입니다. 분열의 시대일수록, 우리는 더욱 '대동단결'이라는 가치의 소중함을 되새겨야 할 때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탄지고(塗炭之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
대의멸친(大義滅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대기만성(大器晚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당랑거철(螳螂拒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다다익선(多多益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