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멸친(大義滅親)'은 큰 정의를 위해 사사로운 친분이나 혈연조차 버린다는 뜻으로, 공정함을 지키기 위해 사적 관계를 희생하는 결단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의멸친(大義滅親)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의멸친 뜻
'대의멸친(大義滅親)'은 '큰 정의(大義)를 위해 부모나 친족(親)을 멸한다(滅)', 즉 공적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사적인 정이나 혈연을 희생한다는 의미입니다.
- 大(큰 대): 크다
- 義(옳을 의): 정의, 공의
- 滅(멸할 멸): 없애다, 버리다
- 親(친할 친): 친척, 혈연
대의멸친은 공사 구분이 철저하고 정의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결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대의멸친은 『좌전(左傳) · 희공 5년 편(僖公五年篇)』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춘추시대 송나라의 대부 공자극(公子克)은 자신의 형 공자목(公子目)이 죄를 지었을 때, 그가 왕법을 어겼음을 이유로 처벌하는 데 동의합니다. 이때 당시의 정치가들이 그를 두고
“그는 대의멸친(大義滅親)이라 할 만하다.”
라고 평가하였고, 이후 사사로운 정보다 공적인 정의를 앞세우는 결단의 상징적 표현이 되었습니다.
예문
대의멸친은 공적인 기준을 지키기 위해 사적인 정을 과감히 끊는 행동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부정행위를 저지른 자식에게 아버지는 대의멸친의 자세로 법대로 처벌을 요구했다.
→ 가족보다 정의를 앞세운 결단 - 내부 비리를 알게 된 임원은 오랜 친구였던 동료를 대의멸친 하며 고발했다.
→ 공익을 위해 사적 관계를 희생 - 그는 정당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친형의 탈당을 감수하며 대의멸친의 결정을 내렸다.
→ 조직의 원칙을 지키기 위한 결단
대의멸친 반대말
대의멸친의 반대 의미를 가진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정용사(感情用事): 이성보다 감정에 따라 행동함
→ 객관성을 잃고 편향된 행동 - 부자유친(父子有親): 부자지간은 기본적으로 친함
→ 혈연적 관계를 중시
이 반대 표현들은 공정함보다 정을 앞세우는 판단, 사적 편향이 개입된 상황을 의미합니다.
대의멸친 유의어
대의멸친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법망회회(法網恢恢): 법의 그물은 크고 성기지만 악인을 놓치지 않음
→ 법 앞에 사사로운 정이 통하지 않음 - 공평무사(公平無私): 공정하고 사사로움이 없음
→ 공정함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 태도 - 청렴결백(淸廉潔白): 탐욕이나 사욕 없이 깨끗하고 정직함
→ 공적인 정의를 중시하는 자세
이 유의어들은 모두 공정성, 정의, 공사 구분의 엄정함을 상징합니다.
끝맺음
'대의멸친(大義滅親)'은 때로는 가슴 아픈 결단이지만, 진짜 정의를 지키기 위해선 감정보다 원칙이 앞서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사람 사이의 정은 중요하지만, 그보다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더 큰 의미일 때가 있습니다. 누군가의 '대의멸친'이, 결국 모두를 위한 '공정한 세상'의 출발점일지도 모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가홍상(同價紅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
도탄지고(塗炭之苦)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대동단결(大同團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대기만성(大器晚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
당랑거철(螳螂拒轍)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