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대동소이(大同小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대동소이(大同小異)는 ‘큰 틀에서는 같고, 작은 부분에서만 다르다’는 뜻으로, 전체적으로는 거의 같지만 세부적인 차이만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대동소이


오늘은 대동소이(大同小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동소이 뜻

  • 大(클 대): 크다, 전체적인 면
  • 同(같을 동): 같다, 동일하다
  • 小(작을 소): 작다, 미세한 차이
  • 異(다를 이): 다르다, 차이

‘대동소이(大同小異)’는 큰 부분은 같고, 작은 부분만 다르다는 뜻으로, 거의 비슷한 성격이나 상황, 혹은 유사한 의견이나 입장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대동소이(大同小異)는 특정한 한 고사에서 유래하기보다는 중국 고전 문헌과 논술문에서 널리 쓰인 표현입니다.
『예기(禮記)』, 『논형(論衡)』 등에서는 큰 틀의 윤리와 제도는 같되, 지역이나 관습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문맥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대동소이는 유학자나 정치가들이 학문, 정책, 이념 등을 비교할 때 자주 인용하며 사자성어로 굳어졌습니다.

 

예문

대동소이(大同小異)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 후보의 공약은 겉보기에는 대동소이하지만 세부 집행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 이 두 브랜드의 제품은 기능 면에서는 대동소이하니 가격과 A/S를 보고 결정하면 된다.
  • 의견이 갈리는 듯했지만 실상은 대동소이한 내용이었다.

이처럼 대동소이서로 다른 것처럼 보여도 본질적으로는 거의 비슷함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대동소이대동소이대동소이

 

대동소이 반대말

  • 천양지차(天壤之差): 하늘과 땅 차이 

천양지차거의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차이를 의미하며, 거의 같은 상태를 표현하는 대동소이와는 반대 의미를 갖습니다.

 

대동소이 유의어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본질적 차이가 없음
  • 유사상종(類似相從): 비슷한 것끼리 어울림
  • 이이제이(以夷制夷): 이로써 이(異)를 다스림 

이 유의어들은 모두 크게 보면 차이가 없거나, 근본적으로 비슷한 맥락이나 구조를 지닌 것들을 설명할 때 사용되며, 대동소이와 함께 쓸 경우 상대 비교나 논리적 균형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끝맺음

대동소이(大同小異)는 본질이나 전체적 구조는 같지만, 일부 세부 사항에만 차이가 있음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논쟁이나 비교, 분석에서 차이보다 공통점을 강조하고자 할 때 자주 사용되며, 정책, 제품, 의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객관적 비교를 위한 핵심 어휘로도 활용됩니다.
차이점을 보기 전에 전체적 유사성을 먼저 이해하는 성숙한 시각이 중요하다는 교훈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당랑당거철(螳螂當拒轍) ⭐

대교약졸(大巧若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