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동가홍상(同價紅裳)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썸네일

 

'동가홍상(同價紅裳)'은 값이 같다면 붉은 치마를 택한다는 뜻으로, 같은 조건이라면 보기 좋고 더 나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가홍상(同價紅裳)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가홍상 뜻

'동가홍상(同價紅裳)'은 '같은 값이면 붉은 치마를 고른다', 즉 조건이 같다면 외형이 더 아름답거나 마음에 드는 것을 택하는 것이 사람의 자연스러운 심리라는 의미입니다.

  • 同(같을 동): 같다
  • 價(값 가): 가격
  • 紅(붉을 홍): 붉다
  • 裳(치마 상): 치마

동가홍상상은 질, 효용이 동일하다면 외형이 더 아름답거나 보기 좋은 것을 선호하는 심리를 표현할 때 주로 쓰이며, 소비자 선택이나 대중 심리, 미적 판단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됩니다.

 

유래

동가홍상은 『후한서(後漢書)유염 전(劉焉傳)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어느 날 유염의 집에서 두 명의 여종이 값이 같은 치마를 팔고 있었는데, 하나는 붉은 치마(紅裳), 다른 하나는 검은 치마였습니다.
사람들은 당연히 값이 같다면 더 보기 좋은 붉은 치마를 고르겠다며 붉은 치마만 골라갔고, 이때부터 '동가홍상'이라는 말이 합리적 선택과 심미적 기호를 동시에 나타내는 표현으로 굳어졌습니다.

 

예문

동가홍상은 동일한 조건에서 더 보기 좋고 만족스러운 선택을 하는 경우에 자주 쓰입니다.

  • 같은 가격의 스마트폰이라면 디자인이 예쁜 걸 고르는 건 동가홍상이다.
    → 디자인 선호를 반영한 소비자 심리
  • 급여가 같다면 복지가 좋은 회사를 선택하는 건 동가홍상이 아닐 수 없다.
    → 동일 조건일 때 더 나은 것을 선택하는 기준
  • 두 음식점 모두 가격과 맛이 비슷하다면 분위기 좋은 곳을 택하는 건 동가홍상일 것이다.
    → 외적 만족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선택

 

한자한자

 

동가홍상 반대말

동가홍상의 반대 의미를 지닌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천석고황(泉石膏肓):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병처럼 깊음
    → 실용이나 외형보다 본질적 취향 중시
  • 각주구검(刻舟求劍): 융통성 없는 고집
    → 조건이 달라도 동일한 기준만 고집
  • 기호지세(騎虎之勢): 이미 시작한 일에서 물러설 수 없음
    → 선택의 자유 없이 강요된 상황

이 반대말들은 합리적이고 심미적인 선택보다 다른 기준, 혹은 비합리적 선택을 고수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동가홍상 유의어

동가홍상과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린 뒤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찍어 완성함
    → 외형적 아름다움의 완성
  • 미사여구(美辭麗句): 아름다운 말과 문장
    → 보기 좋고 듣기 좋은 것을 선호함
  • 이왕이면 다홍치마: 같은 값이면 보기 좋은 것을 택함 (속담)
    → 동가홍상의 속담적 표현

이 유의어들은 심미적 만족, 선택의 우선 기준, 사람의 자연스러운 기호를 설명하는 데 쓰입니다.

 

끝맺음

'동가홍상(同價紅裳)'은 사소해 보일 수 있지만, 우리의 소비와 선택, 가치 판단에서 '왜 이것을 선택했는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떠올리게 합니다.

같은 조건이라면 보기 좋은 것을, 같은 값이라면 더 만족스러운 것을 선택하는 건 당연한 본능이자 합리성의 발로일 수 있습니다. 무엇을 고르든, 자신에게 가장 '붉은 치마' 같은 선택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