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부위침(磨斧爲針)'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도 끈기를 가지고 계속하면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부위침(磨斧爲針)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부위침 뜻
'마부위침(磨斧爲針)'은 '도끼(斧)를 갈아(磨) 바늘(針)을 만든다(爲)', 즉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인내심과 꾸준한 노력을 통해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磨(갈 마): 갈다
- 斧(도끼 부): 도끼
- 爲(할 위): ~이 되다, 만들다
- 針(바늘 침): 바늘
마부위침은 끈기와 집념의 중요성,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삶의 진리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마부위침은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의 어린 시절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이백이 학문에 흥미를 잃고 공부를 그만두려 할 때, 길가에서 할머니가 큰 쇠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이백이 이유를 묻자 할머니는 라고 답하며, 끈질긴 노력이 결국 결과를 이끈다는 교훈을 남겼습니다. 이 이야기에 감동한 이백은 다시 학문에 매진하여 훗날 중국 최고의 시인 중 한 명이 됩니다.
“도끼를 계속 갈면 바늘이 된다.”
라고 답하며, 끈질긴 노력이 결국 결과를 이끈다는 교훈을 남겼습니다. 이 이야기에 감동한 이백은 다시 학문에 매진하여 훗날 중국 최고의 시인 중 한 명이 됩니다.
예문
마부위침은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면 결국 원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수능을 다섯 번 본 그는 결국 의대에 합격했다. 그야말로 마부위침의 결과였다.
→ 오랜 노력 끝에 목표 달성 - 그는 매일 한 글자씩 암기하며 외국어를 배웠고, 몇 년 뒤에는 통역사가 되었다. 마부위침의 진짜 예다.
→ 꾸준한 노력으로 가능해진 성취 - 처음엔 코드 한 줄도 어려웠지만, 매일 연습하며 결국 개발자가 된 내 친구는 마부위침 그 자체다.
→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 사례
마부위침 반대말
마부위침의 반대 의미를 가진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용두사미(龍頭蛇尾): 시작은 거창하나 끝이 흐지부지함
→ 끈기 없는 태도를 비판 - 일진일퇴(日進日退): 하루는 나아가고 하루는 물러남
→ 꾸준하지 않은 모습 - 작심삼일(作心三日): 결심이 오래가지 않음
→ 인내심 부족으로 중도 포기
이 반대말들은 노력의 지속성 부족, 단기적인 열정에 그친 실패를 나타냅니다.
마부위침 유의어
마부위침과 유사한 의미의 실제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
→ 끈기의 상징 - 수적석천(水滴石穿): 물방울도 바위를 뚫는다
→ 작지만 지속적인 힘의 중요성 - 십벌지목(十伐之木):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반복과 끈기로 이룬 성취
이 유의어들은 모두 작은 노력도 끈질기게 계속하면 큰 결과를 이룰 수 있다는 철학을 표현합니다.
끝맺음
'마부위침(磨斧爲針)'은 단순한 격언이 아니라, 모든 성취의 바탕은 끈기와 인내라는 진리를 일깨워주는 말입니다. 성공이 보이지 않는다고 느껴질 때, 지금의 노력이 헛된 것 같을 때, 마부위침의 마음으로 오늘도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
지금 당신이 갈고 있는 ‘도끼’는, 언젠가 누구보다 날카롭고 유용한 ‘바늘’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수무강(萬壽無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
막역지우(莫逆之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등화가친(燈火可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등하불명(燈下不明)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
등용문(登龍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