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삼고초려(三顧草廬)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삼고초려(三顧草廬)는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으로, 인재를 얻기 위해 성의를 다하고 정성을 다해 간청하는 태도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썸네일


이번 글에서는 삼고초려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삼고초려 뜻

삼고초려(三顧草廬)는 세 번이나 초가집을 찾아간다는 의미로, 귀한 인재를 얻기 위해 여러 번 찾아가 정성을 다해 예를 갖추고 요청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 三(석 삼): 셋
  • 顧(돌아볼 고): 찾아가다, 방문하다
  • 草(풀 초): 풀, 초가
  • 廬(오두막 려): 초가집, 오두막

오늘날에 삼고초려는 인재를 구하거나 부탁을 할 때 끈기와 성의를 다하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삼고초려’는 중국 삼국지의 유명한 고사에서 유래했습니다.
유비(劉備)가 뛰어난 인재 제갈량(諸葛亮)을 얻기 위해 그의 초가집을 세 번이나 찾아가서 마침내 그를 만나 등용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일화는 《삼국지》 '출사표'와 《삼국지연의》에서 매우 유명하며, 삼고초려는 인재 등용과 지도자의 겸손과 정성을 상징하는 말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문

삼고초려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회사의 인재를 얻기 위해 삼고초려 끝에 마침내 영입에 성공했다.
  • 지도자의 겸손한 삼고초려 덕분에 뛰어난 참모들이 모일 수 있었다.
  • 요즘 시대에도 진정한 인재는 삼고초려의 자세 없이는 얻기 힘들다.

한자한자

 

삼고초려 반대말

삼고초려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형식지례(形式之禮): 형식적인 예만 갖추는 것, 삼고초려의 진심 어린 성의와는 반대로 겉치레에 그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거만불손(倨慢不遜): 거만하고 교만하여 남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겸손하게 찾아가는 삼고초려의 태도와 반대되는 태도입니다.

 

삼고초려 유의어

삼고초려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삼고지례(三顧之禮): 세 번 찾아가 예를 갖춘다는 의미로, 삼고초려의 다른 표현이며 같은 고사에서 유래했습니다.
  • 후사정성(厚謝精誠): 정성스럽게 후하게 사례한다는 뜻으로, 인재를 얻기 위해 성의를 다하는 태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심력구인(心力求人): 마음과 힘을 다해 사람을 구한다는 의미로, 삼고초려처럼 간절하게 인재를 요청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끝맺음

삼고초려(三顧草廬)는 오늘날에도 겸손함과 성의를 다하는 리더십과 인재 영입의 원칙으로 회자됩니다.
인재를 얻는 것은 단순한 요청이 아니라 진심 어린 노력과 끊임없는 겸손, 그리고 인내가 필요하다는 교훈을 이 사자성어는 전해줍니다. 누군가에게 진심을 담아 요청하고 싶다면, 삼고초려의 자세로 다가가 보는 것은 어떨까요?

 

 

👇 관련 글 모음
마부작침(磨斧作針) ⭐

근하신년(謹賀新年) ⭐

유유상종(類類相從) ⭐

지란지교(芝蘭之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