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옹지마(塞翁之馬)는 변방 노인의 말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할 수 없으므로 너무 기뻐하거나 슬퍼할 필요 없다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새옹지마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새옹지마 뜻
새옹지마(塞翁之馬)는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이라는 의미로, 인생의 화와 복은 변화무쌍하여 어떤 일이 불행처럼 보여도 나중에는 복이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좋은 일이 나중에 화가 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 塞(변방 새): 변경, 국경
- 翁(늙은이 옹): 늙은이, 노인
- 之(갈 지): ~의
- 馬(말 마): 말
유래
‘새옹지마’는 중국 고전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변방에 사는 노인이 기르던 말이 도망쳤으나, 얼마 뒤 더 좋은 말을 데리고 돌아왔고, 그 말 덕에 아들이 다리가 부러졌으나 전란에 나가지 않아 목숨을 건졌다는 이야기에서 인생사 새옹지마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예문
새옹지마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번 실패도 결국 새옹지마처럼 좋은 기회로 바뀔 수 있다.
- 그는 항상 새옹지마라며 결과에 연연하지 않았다.
- 인생은 새옹지마처럼 뜻하지 않은 복이 찾아올 수 있다.
새옹지마 반대말
새옹지마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희일비(一喜一悲): 한 번 기뻐하고 한 번 슬퍼한다는 뜻으로, 새옹지마와 달리 사소한 일에도 쉽게 기뻐하거나 슬퍼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조급불안(躁急不安): 조급하고 불안하여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새옹지마의 담담한 태도와 대조됩니다.
새옹지마 유의어
새옹지마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새옹득실(塞翁得失): 새옹의 얻음과 잃음이라는 뜻으로, 새옹지마와 같은 고사에서 나온 유사한 표현입니다.
- 전화위복(轉禍爲福): 재앙이 바뀌어 복이 된다는 뜻으로, 불행이 오히려 좋은 결과로 바뀔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인생무상(人生無常): 인생은 항상 일정하지 않다는 뜻으로, 새옹지마와 같이 세상의 변화무쌍함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끝맺음
새옹지마(塞翁之馬)는 불행과 행복은 항상 바뀌고 뒤섞이므로 너무 조급해하거나 절망하지 말고, 차분히 받아들이고 인생을 유연하게 대처하라는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도 새옹지마의 마음으로 흔들림 없이 나아간다면, 결국 새로운 길과 복을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 관련 글 모음
과이불개(過而不改)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자필멸(生者必滅)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3 |
---|---|
생사고락(生死苦樂)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3 |
상전벽해(桑田碧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3 |
삼고초려(三顧草廬)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3 |
살생유택(殺生有擇)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