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숙맥불변(菽麥不辨)은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세상 물정을 전혀 알지 못하거나 아주 어리석고 무식함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숙맥불변(菽麥不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기본적인 분별력조차 없는 사람이나 세상 일에 어두운 사람을 낮잡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숙맥불변 뜻

  • 菽(콩 숙): 콩
  • 麥(보리 맥): 보리
  • 不(아닐 불): 아니다
  • 辨(분별할 변): 구별하다

문자 그대로 숙맥불변은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 즉, 기본적인 사리분별도 못할 만큼 무식하거나 어리석다는 의미입니다.

 

유래

숙맥불변(菽麥不辨)은 중국 고전 《좌전(左傳)》 등에서 유래합니다. 고대 농경사회에서 콩과 보리는 농사꾼이라면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작물이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조차 구별하지 못하면 지극히 무지하고 어리석은 사람으로 취급되었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예문

  •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모르는 그는 마치 숙맥불변 같았다.
  • 농사꾼이면서 콩과 보리를 못 알아보니, 참으로 숙맥불변이 아닌가.
  • 정치인이 국민의 고통을 이해 못한다면, 그야말로 숙맥불변일 뿐이다.
  • 그는 경제를 논하면서도 기초 용어조차 몰라 숙맥불변이라는 비난을 들었다.

 

숙맥불변숙맥불변숙맥불변

 

숙맥불변 반대말

  • 박학다식(博學多識): 넓고 깊게 많이 아는 것
  • 일목요연(一目瞭然): 한눈에 훤히 알아봄

사리분별이 빠르고 지식이 풍부한 상태가 반대 의미입니다.

 

숙맥불변 유의어

  • 무지몽매(無知蒙昧): 아는 것이 없고 어리석음

이는 무지하거나 분별력이 부족한 사람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숙맥불변(菽麥不辨)은 단순히 몰라도 되는 지식을 모른다는 뜻이 아니라, 상식 수준의 일조차 구분하지 못하는 무지함이나 우둔함을 비유적으로 비판하는 말입니다.

오늘날에도 숙맥불면은 기초 지식과 분별력이 없는 사람을 꼬집을 때 비유적으로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송무백열(松茂柏悅) ⭐

수서양단(首鼠兩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