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비지심(是非之心)은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고 분별할 수 있는 도덕적 본능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시비지심은 인간이 타고난 양심과 도덕적 판단력을 가리키며, 맹자의 사단설(四端說)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시비지심 뜻
- 是(옳을 시): 옳음
- 非(그를 비): 그름
- 之(갈 지): ~의
- 心(마음 심): 마음
문자 그대로 시비지심은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 즉, 옳은 것과 그른 것을 분별하고, 정의와 부정을 판단할 줄 아는 마음입니다.
유래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중국 고전 《맹자(孟子)》의 사단설(四端說)에서 유래합니다.
맹자는 사람에게는 태어날 때부터 네 가지 선한 마음(四端)이 있다고 보았고, 그 중 시비지심(是非之心)을 지혜(智)의 단서라 하였습니다.
“시비지심은 지(智)의 단서이다.”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은 지혜로운 판단의 출발점이라는 뜻입니다.)
예문
- 그는 어린아이 같지만 옳고 그름을 아는 시비지심은 누구보다 강했다.
-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시비지심을 심어 주는 것이다.
- 사회가 혼란스러운 이유는 모두가 시비지심을 잃었기 때문이다.
- 지도자는 반드시 시비지심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시비지심 반대말
- 후안무치(厚顔無恥): 부끄러움을 모르고 뻔뻔함
옳고 그름을 판단할 능력이나 양심이 결여된 상태가 반대 의미입니다.
시비지심 유의어
- 수오지심(羞惡之心): 악한 것을 부끄러워하는 마음
이는 사리분별과 정의감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시비지심(是非之心)은 단순한 분별력이 아니라, 인간이 타고나면서부터 지닌 양심과 도덕적 판단력을 뜻하며,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올바른 길을 선택하도록 이끄는 마음의 근원입니다.
오늘날에도 시비지심은 정의감과 양심의 회복을 이야기할 때 자주 언급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수서양단(首鼠兩端)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산혈해(屍山血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7 |
---|---|
숙맥불변(菽麥不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7 |
세한삼우(歲寒三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6 |
성동격서(聲東擊西)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7.06 |
섬섬옥수(纖纖玉手) 뜻, 유래, 예문, 비슷한 말 (0)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