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절차탁마(切磋琢磨)는 옥이나 돌을 갈고닦듯 끊임없이 수양하고 노력하여 인격이나 학문을 갈고닦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자기 수련, 학습, 기술 연마, 인격 수양 등을 비유할 때 자주 사용되며, 시간과 노력을 들여 꾸준히 완성도를 높여가는 자세를 강조할 때 활용됩니다.

 

절차탁마

 

이번 글에서는 절차탁마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절차탁마 뜻

절차탁마(切磋琢磨)는 옥이나 돌을 다듬고 갈고 닦는다는 의미로, 학문이나 덕행, 기술 등을 끊임없이 다듬고 연마하여 완성도를 높이고 인격을 수양한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인격 수양뿐 아니라 실력과 능력을 키우는 데도 자주 사용됩니다.

  • 切(자를 절): 자르다
  • 磋(갈 차): 갈다
  • 琢(다듬을 탁): 다듬다
  • 磨(갈 마): 갈다

즉, 절차탁마는 돌과 옥을 깎고 다듬듯 끊임없이 노력하여 자기완성과 수련을 이뤄야 함을 의미합니다.

 

유래

‘절차탁마’는 중국 고전 『시경(詩經)』 '위풍(衛風)'의 '기타(淇水)'편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옥이나 돌을 정성스럽게 깎고 다듬듯 자신의 학문, 인격, 재능을 끊임없이 연마하고 수련해야 한다는 가르침이 담긴 고사성어입니다.

오늘날에도 학습, 자기계발, 인격 수양, 기술 연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는 노력과 성장을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절차탁마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절차탁마의 자세로 꾸준히 자신의 실력을 갈고닦았다.
  • 절차탁마 끝에 마침내 그는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 인격 수양도 절차탁마의 과정이 필요하다.

절차탁마절차탁마

 

절차탁마 반대말

절차탁마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안일무사(安逸無事): 편안하기만 하고 아무런 일도 없다는 뜻으로, 절차탁마처럼 끊임없이 노력하는 태도와 달리 게으르고 편안함만 추구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유야무야(有耶無耶): 흐지부지하여 확실한 성과가 없다는 뜻으로, 절차탁마처럼 치열하게 갈고닦는 것과는 반대로 아무렇게나 대충 흐지부지하게 넘기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절차탁마 유의어

절차탁마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절차탁마처럼 인내심과 끈기로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이뤄내려는 태도를 표현합니다.
  • 주마가편(走馬加鞭):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절차탁마처럼 계속 노력하고 또 노력하여 완성도를 높이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 금석마련(金石磨鍊): 쇠와 돌처럼 단단한 것을 갈고닦는다는 뜻으로, 절차탁마와 같은 맥락에서 끝없이 단련하고 연마하여 자신의 인격과 기술을 완성한다는 의미입니다.

 

끝맺음

절차탁마(切磋琢磨)는 옥이나 돌을 갈고닦듯 끊임없는 노력과 수양을 통해 자기완성과 성장을 이루려는 근면과 인내, 지속적 자기 계발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절차탁마의 정신처럼 끊임없는 연마와 성장, 노력과 성찰을 통해 자신만의 가치와 경쟁력을 길러나가는 태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관련 글 모음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업자득(自業自得) ⭐

작심삼일(作心三日) ⭐

적반하장(賊反荷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