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정저지와(井底之蛙)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정저지와(井底之蛙)는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좁은 세계에 갇혀 세상을 넓게 보지 못하고 자신의 한정된 견해나 경험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려는 사람이나 태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편협한 시야, 고집스러운 태도, 세상 물정에 어두운 사람을 경계하거나 풍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정저지와

 

이번 글에서는 정저지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정저지와 뜻

정저지와(井底之蛙)는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의미로, 좁은 세계에 갇혀 세상 밖을 알지 못하면서도 자신이 아는 것이 전부라고 착각하는 편협한 시야와 태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타인의 경험과 넓은 세상에 대한 겸허함 없이 자신만의 좁은 틀에 갇힌 사람을 풍자할 때 사용됩니다.

  • 井(우물 정): 우물
  • 底(밑 저): 바닥
  • 之(~의 지): ~의
  • 蛙(개구리 와): 개구리

즉, 정저지와는 우물 바닥의 개구리가 우물 밖 세상의 넓음을 알지 못하는 좁고 편협한 세계관을 표현합니다.

 

유래

‘정저지와’는 중국 장자(莊子) '추수(秋水)' 편에 등장하는 고사성어로, 우물 안 개구리가 큰 바다의 개구리와 대화를 나누며
세상의 넓음을 몰라 스스로를 자랑하다가 자신의 무지를 깨닫게 되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편협한 사고, 무지, 좁은 세계에 갇힌 사람이나 조직을 비판하거나 경계할 때 널리 사용됩니다.

 

예문

정저지와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상 경험이 부족하면서 남을 가르치려 하니 정저지와 같았다.
  • 국제적 감각 없이 고집을 부리는 것은 정저지와의 태도다.
  • 더 넓은 세상을 알기 전까지 정저지와처럼 편협한 시야를 가질 수 있다.

정저지와정저지와

 

정저지와 반대말

정저지와와 반대되는 의미의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견문발검(見聞拔劍): 세상을 넓게 보고 다양한 것을 아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정저지와처럼 세상을 좁게 보는 것이 아니라 넓은 시야와 폭넓은 식견을 지닌 태도를 의미합니다.
  • 방외지인(方外之人): 세속의 틀에서 벗어나 세상을 두루 보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정저지와처럼 좁은 세계에 갇힌 것이 아니라 넓은 세계를 자유롭게 바라보는 태도를 표현합니다.

 

정저지와 유의어

정저지와와 유사한 뜻을 지닌 실제 존재하는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와(井蛙):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정저지와와 같은 의미로 좁은 세계에 갇힌 사람이나 사고방식을 비유합니다.
  • 좌정관천(坐井觀天): 우물 안에 앉아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정저지와처럼 좁은 시야로 세상을 판단하는 편협한 태도를 비유합니다.
  • 소견대견(小見大見): 작은 견해와 큰 견해라는 뜻으로, 정저지와처럼 작은 견해에 갇히는 것과 대비하여 넓은 시야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끝맺음

정저지와(井底之蛙)는 좁은 세계에 갇혀 세상의 넓음과 깊음을 모른 채 자신의 좁은 지식과 경험만으로 세상을 판단하는 편협함과 무지를 풍자하는 대표적 사자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정저지와의 태도처럼 좁은 경험과 생각에 갇히지 않고 끊임없이 배우고 다양한 시각을 수용하는 유연함과 열린 사고가 더욱 중요함을 이 사자성어는 일깨워줍니다.

 

 

👇 관련 글 모음
적재적소(適材適所) ⭐

전대미문(前代未聞) ⭐

전전반측(輾轉反側) ⭐

전화위복(轉禍爲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