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아닌 말도 여러 사람이 하면 믿게 된다" 살다 보면, 명확한 사실보다 소문과 여론이 더 무섭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떠오르는 사자성어가 바로 '삼인성호(三人成虎)'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삼인성호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사한 사자성어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특히, 사회생활, 미디어 소비, 인간관계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삼인성호 뜻
'삼인성호(三人成虎)'는 "세 사람이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말하면, 실제로 호랑이가 있다고 믿게 된다"는 뜻입니다. 즉, 삼인성호는 아무리 터무니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반복해서 말하면 결국 사람들은 그것을 믿게 된다는 의미죠.
- 三(삼): 셋
- 人(인): 사람
- 成(성): 이루다, 만들어지다
- 虎(호): 호랑이
유래
삼인성호는 전국시대 중국 위나라의 인물 방총(龐蔥)의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방총은 조나라로 인질로 떠나기 전, 위나라 왕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지금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사람이 한 명 있다고 칩시다. 믿으시겠습니까?”
왕은 “아니”라고 답했죠.
“그런데 두 사람이, 세 사람이 말하면 어떻겠습니까?”
왕은 “세 사람이나 말하면, 나도 믿을 것 같소”라고 했고,
방총은 “저는 조나라로 떠납니다. 많은 이들이 저를 헐뜯을 것입니다.
그들 말을 듣고 저를 판단하지 말아 주십시오”라고 간곡히 말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사실이 아닌 말도 반복되면 믿게 되는 인간 심리와 군중 효과를 비유한 고사로 지금까지 전해집니다.
예문
특히, SNS나 유튜브, 댓글 문화 속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퍼지며 '사실'로 굳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삼인성호는 우리가 가져야 할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 그 사람 정말 그런 사람 아니야. 삼인성호라는 말도 있잖아.
- 미확인 기사만 읽고 판단하지 마. 삼인성호의 전형적인 오류야.
- 여러 사람이 떠들면 진짜처럼 느껴지지만, 진실과는 다를 수 있어. 삼인성호야.
삼인성호 반대말
삼인성호의 반대 의미는 사실 기반의 판단 또는 객관적 진실을 추구하는 태도입니다. 정확한 고사성어로의 반대말은 드물지만, 다음과 같은 표현이 반대 개념을 나타냅니다.
사자성어 | 의미 |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입각해 진실을 탐구함 |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 | 간명하게 본질을 꿰뚫는 말 |
명명백백(明明白白) | 사실이 매우 분명하고 확실함 |
이처럼 진실과 사실을 중시하는 태도는 삼인성호의 위험성을 상쇄하는 역할을 합니다.
삼인성호 유의어
심인성호 유의어는 다음과 같으며, 이 중 유언비어나 풍문유포, 중언부언은 삼인성호와 특히 의미상 유사합니다. "말이 많으면 진실이 흐려진다"는 공통 메시지를 담고 있죠.
사자성어 | 의미 |
중언부언(重言復言) | 같은 말을 되풀이함 (쓸모없는 반복) |
이이제이(以夷制夷) | A를 이용해 B를 제압함 (선동 전략과 연결) |
유언비어(流言蜚語) | 터무니없는 소문과 헛소문 |
인신공격(人身攻擊) | 사실이 아닌 말로 인격을 해치는 행위 |
풍문유포(風聞流布) | 들은 말을 사실처럼 퍼뜨림 |
끝맺음
삼인성호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와 소문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교훈입니다. 아무리 많은 사람이 말해도, 그 말이 진실이 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숫자보다 사실과 근거에 따라 판단하는 태도를 배워야 합니다.
다음에 누군가의 말을 사실처럼 믿고 싶어질 때, 한 번쯤 이 사자성어를 떠올려 보세요. "지금 내가 듣는 말, 혹시 삼인성호는 아닐까?"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4 |
---|---|
표리부동(表裏不同)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4 |
순망치한(脣亡齒寒)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4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0) | 2025.04.24 |
미수(米壽) 뜻, 유래, 예시, 비슷한 어휘 (+선물 추천)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