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천연지차(天淵之差)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천연지차(天淵之差)는 하늘과 깊은 못의 차이라는 뜻으로, 두 대상 사이의 차이가 매우 크고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천연지차


오늘은 천연지차(天淵之差)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연지차 뜻

  • 天(하늘 천): 하늘
  • 淵(못 연): 깊은 못, 깊은 바닥
  • 之(의 지): ~의
  • 差(차이 차): 차이, 간극

'천연지차(天淵之差)'는 하늘과 깊은 연못(심연) 사이처럼 절대적으로 큰 차이를 뜻합니다. 즉, 천연지차는 둘 사이가 너무 달라 서로 비교하기조차 어려운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유래

천연지차(天淵之差)는 고전 한문 문장이나 시문에서 등장하는 표현으로, '천(天)'과 '연(淵)'이라는 극과 극의 공간적 대비를 통해 간극의 극심함을 강조합니다.
《문심조룡(文心雕龍)》 등의 고전에서도 천연지차는 비유적 수사로 자주 활용되며, 이는 후대에 와서 지적 수준, 품격, 실력, 환경 차이 등을 설명하는 사자성어로 정착하였습니다.

 

예문

천연지차(天淵之差)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 지원자의 발표력에는 천연지차가 느껴질 정도로 실력 차가 컸다.
  • 이론과 실전 사이에는 늘 천연지차가 존재한다.
  • 단순한 외형은 비슷했지만 완성도 면에서는 천연지차였다.

이처럼 천연지차두 사물이나 사람의 본질적, 절대적 차이를 강조하는 문맥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천연지차천연지차천연지차

 

천연지차 반대말

  • 막상막하(莫上莫下):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비슷함
  • 백중지세(伯仲之勢): 실력이 엇비슷하여 우위를 가리기 어려움

막상막하는 격차가 거의 없다는 뜻으로,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는 천연지차와는 정반대 개념입니다.
백중지세 또한 비슷한 위치나 능력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천연지차의 대비 개념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천연지차 유의어

  • 운니지차(雲泥之差): 구름과 진흙처럼 격차가 큰 상태
  • 천양지차(天壤之差):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
  • 소양지차(素養之差): 인격이나 교양의 깊이에서 비롯된 차이

이 유의어들은 모두 두 대상의 차이가 크고 본질적으로 다름을 강조할 때 사용되며,
천연지차와 마찬가지로 실력, 성품, 배경, 수준 등의 간극을 명확히 드러낼 때 적절한 표현입니다.

 

끝맺음

천연지차(天淵之差)는 표면적 차이가 아닌 근본적인 수준 차이를 강조할 때 매우 효과적인 사자성어입니다.
천연지차는 단순한 우열을 넘어, 상호 비교 자체가 어려운 수준 차이 또는 가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으며, 사회적 격차, 실력 차이, 인식의 수준 등을 설명하는 글이나 논평에서 강한 인상을 주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 관련 글 모음
창상지변(滄桑之變) ⭐

천양지차(天壤之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