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이불비(哀而不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애이불비(哀而不悲)는 “슬프지만 슬퍼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마음속으로는 슬프지만 겉으로 슬픔을 드러내지 않고 이성적으로 절제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슬픔에 휩싸이지 않고 상황을 냉철하게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을 비유할 때 사용합니다. 오늘은 애이불비(哀而不悲)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애이불비 뜻哀(슬플 애): 슬프다而(말 이을 이): 그러나不(아닐 불): ~하지 않다悲(슬플 비): 슬프다문자 그대로 애이불비는 “슬프나 슬퍼하지 않는다”, 즉, 마음속 깊은 슬픔을 이성으로 절제하여 감정에 빠지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래애이불비(哀而不悲)는 공자의 말에서 유래했습니다.《논어(論語)》에서 공자는 군자의 태도에 대해 “군자는 애이불비하며, 즐거워하되 넘치지 않는..
암중모색(暗中摸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암중모색(暗中摸索)은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확실한 방법이나 방향을 알지 못한 채 이리저리 시도하며 길을 찾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암중모색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해결책이나 돌파구를 찾기 위해 애쓰는 모습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오늘은 암중모색(暗中摸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암중모색 뜻暗(어두울 암): 어둡다中(가운데 중): ~속에서摸(더듬을 모): 더듬다, 찾아보다索(찾을 색): 찾다문자 그대로 암중모색은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는다”, 즉, 명확한 길이나 답을 알지 못해 시행착오를 겪으며 탐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래암중모색(暗中摸索)은 고대 중국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어두운 곳에서 손으로 더듬어 길을 찾듯이 확실하지 않은 상태..
십시일반(十匙一飯)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십시일반(十匙一飯)은 “열 사람이 한 숟가락씩 보태면 한 그릇의 밥이 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치면 한 사람을 돕거나 큰일을 해낼 수 있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십시일반에는 작은 정성이나 도움도 모이면 큰 힘이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십시일반(十匙一飯)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십시일반 뜻十(열 십): 열匙(숟가락 시): 숟가락一(한 일): 하나飯(밥 반): 밥문자 그대로 십시일반은 “열 숟가락이 모여 한 그릇의 밥이 된다”, 즉, 여러 사람이 조금씩 보탠 것이 모여 큰 도움이 됨을 뜻합니다. 유래십시일반(十匙一飯)은 고대 중국의 《한서(漢書)》에서 유래했습니다.한서에는 “열 명이 한 숟가락씩 밥을 보태면 한 사람을 먹일 수 있다”는..
십벌지옥(十伐之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십벌지옥(十伐之獄)은 “열 번 베이는 형벌을 받는 지옥”이라는 뜻으로, 극히 참혹하고 혹독한 형벌이나 고통스러운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십벌지옥은 주로 극한의 고통, 혹독한 형벌, 참혹한 처벌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오늘은 십벌지옥(十伐之獄)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십벌지옥 뜻十(열 십): 열伐(칠 벌): 벨다, 공격하다之(갈 지): ~의獄(감옥 옥): 감옥, 지옥문자 그대로 십벌지옥은 “열 번 벤다는 지옥”, 즉, 지옥 같은 상황에서 여러 번 형벌을 받는 혹독함을 나타냅니다. 유래십벌지옥(十伐之獄)은 중국 고전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고대 법률과 신화 속에서 중죄인이 지옥에서 여러 차례 고통스러운 형벌을 반복해서 받는 모습을 묘사하며 생겨났습니다.특히, 불교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