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언서판(身言書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신언서판(身言書判)은 “몸가짐, 말씨, 글씨, 판단력”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인품과 능력을 평가하는 네 가지 기준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신언서판은 옛 중국에서 관리나 인재를 선발할 때 중요하게 여긴 덕목을 표현한 말입니다. 오늘은 신언서판(身言書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언서판 뜻身(몸 신): 용모와 태도言(말씀 언): 말씨와 언행書(글 서): 글씨와 문장 실력判(판단할 판): 판단력, 사리분별문자 그대로 신언서판은 “몸가짐과 말씨, 글씨체, 판단력”, 즉 사람을 평가할 때 외모·언행·문필·사리분별력을 기준으로 삼음을 뜻합니다. 유래신언서판(身言書判)은 중국 당나라 시대에 관리 선발 기준으로 사용된 표현입니다.身: 용모가 단정하고 인품이 훌륭한지言: 언행이 바..
시산혈해(屍山血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시산혈해(屍山血海)는 “시체가 산처럼 쌓이고 피가 바다를 이룬다”는 뜻으로, 수많은 사람이 죽어 시체가 산처럼 쌓이고 피가 바다를 이룬 참혹한 전란이나 대규모 학살의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시산혈해는 극단적으로 비참하고 처참한 전란(戰亂), 재난, 살육의 현장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시산혈해 뜻屍(주검 시): 시체, 주검山(산 산): 산血(피 혈): 피, 혈액海(바다 해): 바다문자 그대로 시산혈해는 “시체가 산을 이루고, 피가 바다를 이룬다”, 즉, 수많은 생명이 희생된 참혹한 상황을 뜻합니다. 유래시산혈해(屍山血海)는 중국의 고대 역사서와 병법서에서 전란의 참상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된 표현입니다.특히,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자치통감(資治通鑑)》 등에서는 대규모 전투 후 수많은 ..
시비지심(是非之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고 분별할 수 있는 도덕적 본능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시비지심은 인간이 타고난 양심과 도덕적 판단력을 가리키며, 맹자의 사단설(四端說)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시비지심 뜻是(옳을 시): 옳음非(그를 비): 그름之(갈 지): ~의心(마음 심): 마음문자 그대로 시비지심은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 즉, 옳은 것과 그른 것을 분별하고, 정의와 부정을 판단할 줄 아는 마음입니다. 유래시비지심(是非之心)은 중국 고전 《맹자(孟子)》의 사단설(四端說)에서 유래합니다.맹자는 사람에게는 태어날 때부터 네 가지 선한 마음(四端)이 있다고 보았고, 그 중 시비지심(是非之心)을 지혜(智)의 단서라 하였습니다.“시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