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군분투(孤軍奮鬪)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모두가 등을 돌린 상황, 도움은 없고, 책임만 무겁게 지워진 자리,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홀로 버텨야 할 때 우리는 고군분투라는 말을 떠올리게 됩니다.오늘날 개인의 삶, 직장, 학교, 사회 곳곳에서 혼자 고독하게 싸우는 수많은 이들의 현실을 대변하는 말, 바로 '고군분투(孤軍奮鬪)'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군분투의 정확한 뜻과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소개하겠습니다. 고군분투 뜻'고군분투(孤軍奮鬪)'는 '외로운 군대가 힘을 다해 싸운다'는 뜻으로, 혼자 힘으로 고난과 맞서며 치열하게 싸우는 상황을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孤(외로울 고): 고립된軍(군사 군): 군대奮(떨칠 분): 힘을 냄鬪(싸울 투): 싸우다즉, 고군분투는 도움도, 지원도 없이 혼자서 악조건을 이겨내며 싸워나가는 모습을 뜻합니다..
고복격양(鼓腹擊壤)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전쟁도, 기근도, 다툼도 없는 평화로운 시대. 어린아이의 웃음소리가 골목마다 울려 퍼지고, 노인은 햇살 아래서 흙을 두드리며 나른한 낮잠을 즐기고. 그 어떤 위기의식도 없는, 그 자체로 안온하고 행복한 삶.이런 장면을 단 네 글자로 표현할 수 있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바로 '고복격양(鼓腹擊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복격양의 정확한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고복경양 뜻'고복격양(鼓腹擊壤)'은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다'는 말로, 평화롭고 태평한 시대에 노인이 흥에 겨워 즐기는 모습을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鼓(북 칠 고): 두드리다腹(배 복): 배擊(칠 격): 치다壤(흙 양): 땅즉, 고복격양은 걱정 없이 배를 두드리고 흙덩이를 치며 노래를 부를 수 있을 만큼 평화..
고립무원(孤立無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살다 보면 누구나 예상치 못한 외로움과 마주하게 됩니다. 어떤 문제든 결국엔 혼자 해결해야 할 때, 도움을 청하고 싶지만 누구 하나 손 내밀어주지 않을 때, 그런 상황을 딱 네 글자로 표현할 수 있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고립무원(孤立無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립무원의 정확한 뜻과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고립무원 뜻'고립무원(孤立無援)'은 '외롭게 떨어져 있어 도와주는 사람이 전혀 없다'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孤(외로울 고): 혼자立(설 립): 서다無(없을 무): 없음援(도울 원): 도움즉, 고립무원은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주변에 도움을 줄 사람이나 수단이 전혀 없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사회적 고립, 정치적 고립, 심리적 고립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며, 비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