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0

우후송산(雨後送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우후송산(雨後送傘)은 비가 그친 후에 우산을 보낸다는 뜻으로, 정작 필요할 때는 도와주지 않고 일이 끝난 뒤에야 도움을 주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우후송산(雨後送傘)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후송산 뜻雨(비 우): 비後(뒤 후): 지나간 뒤送(보낼 송): 보내다傘(우산 산): 우산'우후송산(雨後送傘)'은 비가 다 그친 뒤에 우산을 건넨다는 의미로, 시기를 놓쳐서 아무 소용이 없는 도움이나 배려를 뜻합니다. 우후송산은 제때 필요한 행동이 아니라는 점에서 실효성이 떨어지고 의미가 퇴색된 행위를 꼬집는 말입니다. 유래우후송산(雨後送傘)은 고전 문헌보다는 후대에 형성된 비유적 표현으로, 중국과 한국에서 관용구처럼 널리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우후송산..
요순시대(堯舜時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요순시대(堯舜時代)는 고대 중국의 성군인 요임금과 순임금이 다스리던 시기를 말하며, 가장 이상적인 정치와 평화로운 세상이 실현된 시대로 인식되는 이상향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요순시대(堯舜時代)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순시대 뜻堯(요임금 요): 중국 고대의 성군 요임금舜(순임금 순): 요임금의 뒤를 이은 또 다른 성군 순임금時(때 시): 시대代(대신할 대): 시대, 왕조'요순시대(堯舜時代)'는 요임금과 순임금이 다스리던 시절을 가리키는 말로, 백성들이 태평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던 이상적인 정치 시대를 의미합니다.요순시대는 지금 흔히 이상향, 유토피아, 평화롭고 안정된 국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요순시대(堯舜時代)는 중국 고대의 전설적..
연하고질(煙霞痼疾)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연하고질(煙霞痼疾)은 안개와 노을을 앓는 지병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자연 풍경을 너무나도 사랑해 마치 고질병처럼 떠나지 못하는 마음을 비유한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연하고질(煙霞痼疾)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하고질 뜻煙(연기 연): 안개, 구름, 연기霞(노을 하): 아침·저녁노을痼(고질 고): 고질적인, 오래된 병疾(병 질): 병, 집착'연하고질(煙霞痼疾)'은 자연 풍경에 대한 애착이 마치 고치기 힘든 병처럼 깊고 강하다는 의미로, 특히,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지극한 자연 예찬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유래연하고질(煙霞痼疾)은 중국 당나라 시인들이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미하며 사용한 표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특정 고사에 근거한 표현은 아니..
여진여퇴(如嗔如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여진여퇴(如嗔如退)는 화를 내는 듯, 물러나는 듯하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불만을 품거나 반대하는 태도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따라가는 행동을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여진여퇴(如嗔如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진여퇴 뜻如(같을 여): ~처럼, ~인 듯嗔(성낼 진): 성내다, 화내다如(같을 여): ~처럼, ~인 듯退(물러날 퇴): 물러서다, 반대하다'여진여퇴(如嗔如退)'는 마치 화를 내거나 반대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실제로는 따르고 있음을 비유한 표현입니다. 즉, 여진여퇴는 겉과 속이 다른 태도, 또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모순적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여진여퇴(如嗔如退)는 《한서(漢書) · 혹리 전(霍光傳)》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한 인물이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