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여진여퇴(如嗔如退)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하루리쌤

여진여퇴(如嗔如退)는 화를 내는 듯, 물러나는 듯하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불만을 품거나 반대하는 태도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따라가는 행동을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여진여퇴(如嗔如退)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진여퇴 뜻

  • 如(같을 여): ~처럼, ~인 듯
  • 嗔(성낼 진): 성내다, 화내다
  • 如(같을 여): ~처럼, ~인 듯
  • 退(물러날 퇴): 물러서다, 반대하다

'여진여퇴(如嗔如退)'는 마치 화를 내거나 반대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실제로는 따르고 있음을 비유한 표현입니다. 즉, 여진여퇴는 겉과 속이 다른 태도, 또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모순적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

여진여퇴(如嗔如退)는 《한서(漢書) · 혹리 전(霍光傳)》에 등장하는 표현으로, 한 인물이 표면적으로는 반대하거나 냉담한 태도를 보이지만, 실제로는 권세에 편승하여 움직이는 모습에서 유래합니다.
여진여퇴는 이후 표리부동하거나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비꼬는 의미로 사자성어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예문

여진여퇴(如嗔如退)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는 회의 중에는 늘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결정이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따르니 전형적인 여진여퇴다.
  • 상사에게는 비판적인 말을 하다가도 결국에는 그의 의견을 따르는 모습에서 여진여퇴가 느껴졌다.
  • 겉으로는 반대하지만 실상은 찬성하는 여진여퇴식 태도는 신뢰를 떨어뜨린다.

이처럼 여진여퇴내면과 행동이 불일치하는 위선적이거나 기회주의적인 태도를 꼬집을 때 쓰입니다.

 

여진여퇴여진여퇴

 

여진여퇴 반대말

  • 표리일체(表裏一體): 겉과 속이 하나 됨
  • 언행일치(言行一致): 말과 행동이 같음

표리일체는 겉과 속이 같고 정직한 태도를 뜻하여, 겉과 속이 다른 여진여퇴와 대조됩니다.
언행일치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것을 뜻하며, 행동은 따르면서 말로는 비판하는 여진여퇴와 반대되는 성향입니다.

 

여진여퇴 유의어

  • 부화뇌동(附和雷同): 아무 생각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감
  • 수중축대(水中築臺): 실속 없는 외형, 허세와 모순된 태도
  • 부화수행(附和隨行): 그저 남 따라 움직이는 행동

부화뇌동은 주체적인 판단 없이 남의 의견에 휩쓸리는 행위를 뜻하며, 여진여퇴와 같이 비판적 뉘앙스가 담긴 표현입니다.
수중축대는 실속 없는 행동을 의미하며, 형식적으로만 반대하거나 의미 없이 따라가는 태도를 비유할 때 쓰입니다.
부화수행은 논리나 신념 없이 행동을 따르는 모습을 묘사하는 유사한 표현입니다.

 

끝맺음

여진여퇴(如嗔如退)는 겉으로는 비판하거나 반대하는 태도를 보이지만 실제로는 따라가는 위선적 행동을 비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러한 태도는 신뢰를 무너뜨리고 공동체 내 갈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정직하고 책임 있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되새기게 합니다.

 

 

👇 관련 글 모음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 ⭐

심심상인(心心相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