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궁지조(驚弓之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경궁지조(驚弓之鳥)는 활 소리에도 놀라는 새라는 뜻으로, 한 번 크게 놀란 사람은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두려움을 느낀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경궁지조(驚弓之鳥)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궁지조 뜻驚(놀랄 경): 놀라다弓(활 궁): 활之(갈 지): ~의鳥(새 조): 새'경궁지조(驚弓之鳥)'는 활을 본 것만으로도 놀라 날아가는 새를 의미하며, 경궁지조는 과거의 충격이나 상처로 인해 작은 일에도 과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경궁지조(驚弓之鳥)는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의 사상가 '한비자(韓非子)'의 고사에서 유래합니다.초나라 왕 앞에서 왕량(王良)이라는 명궁이 "활을 쏘지 않고도 새를 떨어뜨릴 수 있다"라고 말하고, 활시위를 당기기..
패가망신(敗家亡身)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패가망신(敗家亡身)은 집안을 망치고 몸까지 망하게 된다는 뜻으로, 무절제한 행동이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 재산을 잃고 인생까지 몰락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패가망신(敗家亡身)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패가망신 뜻敗(패할 패): 망치다, 무너지다家(집 가): 집, 가정亡(망할 망): 사라지다, 죽다身(몸 신): 몸, 자신'패가망신(敗家亡身)'은 가산을 탕진하고 신세까지 망쳐 결국 인생을 파탄 낸다는 뜻입니다. 보통 패가망신은 재산과 인생을 함께 잃는 상황을 경고할 때 쓰입니다. 유래패가망신(敗家亡身)은 특정 고전에서 유래한 표현은 아니지만, 유교 윤리에서 가정을 지키고 절제 있는 삶을 강조하던 시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관용적 사자성어입니다.조선시대 가..
일필휘지(一筆揮之)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
일필휘지(一筆揮之)는 한 번 붓을 휘둘러 쓴다는 뜻으로, 글을 단숨에 힘차게 써 내려가는 모습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일필휘지(一筆揮之)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필휘지 뜻一(한 일): 하나, 한 번筆(붓 필): 글을 쓰는 도구揮(휘두를 휘): 휘두르다, 빠르게 쓰다之(~할 지): ~하다'일필휘지(一筆揮之)'는 글을 거침없이 단숨에 써 내려가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일필휘지는 문장력이나 표현력이 뛰어나 생각이 막힘 없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일필휘지(一筆揮之)는 중국 명나라 문인들이 시문을 평가할 때 자주 사용한 표현으로, "단숨에 써 내려간 글이 기교 없이도 완성도 높고 기세가 넘친다"는 칭찬의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일필휘지는 특..
주지육림(酒池肉林)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주지육림(酒池肉林)은 술로 만든 못과 고기로 이루어진 숲이란 뜻으로, 극도의 향락과 사치를 일삼는 상태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주지육림(酒池肉林)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지육림 뜻酒(술 주): 술池(못 지): 연못肉(고기 육): 고기林(수풀 림): 숲'주지육림(酒池肉林)'은 술을 못처럼 담아놓고, 고기를 숲처럼 걸어놓은 상황을 말하며, 주지육림은 도덕이나 절제를 잊고 끝없는 향락과 사치를 즐기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유래주지육림(酒池肉林)은 중국 은나라(殷) 말기 주왕(紂王)의 타락한 생활에서 유래합니다.사서(史書)인 사기(史記)와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따르면, 주왕은 술로 연못을 만들고 고기를 나뭇가지처럼 걸어놓아, 여색과 향락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