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0

심심상인(心心相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심심상인(心心相印)은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한다는 뜻으로,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뜻을 이해하고 감정을 교감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심심상인(心心相印)의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심상인 뜻心(마음 심): 마음心(마음 심): 또 다른 마음相(서로 상): 서로印(도장 인): 인식, 통하다, 맞다'심심상인(心心相印)'은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하여 꼭 맞는 상태를 의미하며, 말이나 글 없이도 정신적, 감정적으로 깊이 교류하거나 이해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심심상인은 불교에서 특히 스승과 제자 간, 또는 참된 깨달음의 세계에서 언어가 아닌 직관적 전달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심심상인(心心相印)은 불교 경전, 특히 선종(禪宗) 문헌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선종..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는 하늘을 함께 이고 살 수 없는 원수라는 뜻으로,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철천지원수, 목숨을 걸고 복수할 만큼 깊은 원한 관계를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구대천지수 뜻不(아닐 불): 아니다俱(함께 구): 함께戴(일 대): 이고 살다天(하늘 천): 하늘之(의 지): ~의讐(원수 수): 원수, 복수의 대상'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는 같은 하늘 아래서는 함께 살 수 없는 원수라는 뜻으로, 부모나 혈육을 죽인 자에 대한 극단적인 복수심을 표현한 말입니다.불구대천지수는 흔히 극도의 원한 관계나 죽어도 화해할 수 없는 적대관계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유래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는 『예기(..
반포보은(反哺報恩)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반포보은(反哺報恩)은 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뜻으로, 부모에게 받은 은혜를 되갚는 효행을 이르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반포보은(反哺報恩)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포보은 뜻反(돌이킬 반): 되돌리다, 돌려주다哺(먹일 포): 먹이다報(갚을 보): 갚다, 보답하다恩(은혜 은): 은혜, 사랑'반포보은(反哺報恩)'은 새끼 까마귀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듯, 부모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입니다. 흔히 반포보은은 자식을 키운 부모의 노고를 기억하고, 장성한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고 효도하는 행위를 비유합니다. 유래반포보은(反哺報恩)은 《후한서(後漢書)·양진 전(養親傳)》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까마귀 새끼가 자라면 늙은 ..
망양보뢰(亡羊補牢)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 망양보뢰(亡羊補牢)는 양을 잃고서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일이 터졌지만 그 후라도 바로잡으면 늦지 않음을 일컫는 사자성어입니다. 오늘은 망양보뢰(亡羊補牢)의 뜻, 유래, 예문,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망양보뢰 뜻亡(망할 망): 잃다, 도망가다羊(양 양): 양補(기울 보): 고치다, 보완하다牢(우리 뢰): 가축을 가두는 울타리, 우리'망양보뢰(亡羊補牢)'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친다는 의미로, 일이 발생한 후에라도 문제를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뒤늦은 조치라도 적절하면 향후의 피해를 막을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유래망양보뢰(亡羊補牢)는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실린 고사에서 유래합니다.초나라 왕에게 충신이 간언 하길, "양을 잃은 후에라도 울타리..